반응형 전체 글945 시조 감상: 강호에 봄이 드니 BY 황희 '강호에 봄이드니'는 강과 호수에 봄이 찾아오니 할 일이 너무 많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황희는 그물을 손질하고 아내는 밭에서 일하는 동안 뒷산의 약초를 언제 캐야할지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모습을 통해 젊음의 열정으로 일하다가 퇴직 후 여유를 즐기는 선비의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강호에 봄이 드니 강호(江湖)에 봄이 드니 이 몸이 일이 하다 나는 그물 깁고 아해는 밭을 가니 뒷 뫼에 엄기는 약(藥)을 언제 캐려 하나니 황희 소개 황희(1363~1452)는 고려 말 시대의 유신으로 1392년에 고려가 망하자 은둔하며 지내던 중 태조 3년에 성균관학관에 제수되었으며, 형조, 예조, 이조, 병조의 정랑을 모두 거쳐 세종 때에는 영의정과 좌의정에 올라가 조선 왕조에서 가장 명망 .. 상식 2023. 7. 23. 천연두에 대한 우리가 몰랐던 사실들 기원전부터 20세기 중반까지의 역사에서 천연두는 인류에게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이 무시무시한 바이러스는 수억 명의 사람들을 사망에 이르게 했는데 그 만큼 천연두에는 우리가 몰랐던 많은 이야기가 숨겨져 있습니다. 전염병의 제왕 천연두 Small Pox 개요 천연두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발열, 두통, 몸살로 시작하여 발진이 나타납니다. 발진은 황반(납작하고 붉은 반점)에서 구진(융기된 돌기)으로, 그리고 농포(액체로 채워진 물집)로 진행됩니다. 몇 주 후 농포는 딱지를 형성하고 딱지를 형성한 후 결국 떨어지면서 흉터를 남깁니다. 천연두는 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호흡기 비말을 통해 사람 간에 전파됩니다. 또한 감염된 체액이나 오염된 물건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상식 2023. 7. 23. 과하지욕: 홍준표 시장이 한신의 마음인가? 과하지욕(跨下之辱)은 한서(漢書)의 한신전(韓信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현재의 작은 창피함과 어려움을 감내하며 큰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사람들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최근 홍준표대구시장이 과하지욕이란 표현을 사용하면서 많이 회자되고 있다 한(漢)나라의 명장 한신(韓信)에 관한 이야기 한신은 회음(淮陰)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집이 가난하여 계집질을 하지 못했으며, 또한 벼슬자리에 뽑히지 못하고 상인이 되어 돈을 벌지 못한 채 남의 은혜를 받아 생계를 이어왔습니다. 그는 하향(下鄉) 남창(南昌)의 정장(亭長)에게 의지하여 먹었던 적도 있었는데 정장의 아내는 한신을 마음에 들지 않아서 새벽부터 준비하여 아침 식사를 일찍 마치거나 한신의 식사를 차려두지 않았다고 합니다. 한신은 그녀의 뜻을 이해하고 자발..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3. 뇌란물계리 賴亂勿計利 뜻과 유래 배우기 뇌란물계리는 어려울 때 자기의 이익만을 계산만 하면 결국 자기에게 화가 온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 고사성어는 춘추 선공편에 소개되고 있는데 주 나라때 사관인 사일(史佚)이란 자가 말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뇌란물계리 賴亂勿計利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춘추 春秋』 정周의 사공 史供(선공편 宣公篇) 뇌란물계리 賴亂勿計利 뜻 賴 의뢰할 뇌 亂 어지러울 란 勿 말(아니다) 計 셀 계 利 이로울 리 뇌란물계리 賴亂勿計利 유래 선공(宣公) 12년 봄 초자(楚子)는 정(鄭)을 포위하고 공격한지 17일이 되었다. 정에서는 화평을 청하는 것이 어떤가 점쳐 보았더니 불길하였다. 그래서 조묘(祖廟)에 국가 멸망에 대한 곡별례(哭別禮)을 행하고, 도읍 광장에 전차(戰車)를 벌려 놓으면 (최후의 일전에 대비하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3. 국정농단 사법농단의 농단 壟斷 뜻과 유래 배우기 국정농단, 사법농단처럼 최근 많이 사용되는 농단(壟斷)이란 단어는 원래는 우뚝솟은 언덕을 의미했으나 바뀌어서『혼자독차지』란 뜻에도 쓰이게되었다. 이 단어는 맹자의 진심편에 나오는 성어다. 농단 壟斷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맹자 孟子』 진심편하 盡心篇下 농단 壟斷 뜻 壟 밭두둑 롱(농) 斷 끊을 단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이나 이익(利益)을 독점(獨占)함을 뜻한다 즉 국정농단은 국정을 혼자 독차지하다는 의미이고 사법농단은 사법을 혼자 독차지한다는 뜻이다. 맨 처음 한자를 찾기전에는 농단에서 농이 우롱한다는 의미가 있는 줄 알았으나 우롱(愚 어리석을 우 弄 희롱할 롱(농))과는 한자가 다릅니다. 농단 壟斷 유래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 온 세상이 평화롭고 사람들은 다 순박하기 짝이 없을 때의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3. 에스프레소(커피)의 알츠하이머 예방 효과 에스프레소 커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료 중 하나로 알츠하이머 병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었지만 최근 이탈리아 연구팀이 에스프레가 알츠하이머병 예방을 위해 작용하는 원리를 발견했다고 합니다. 에스프레소(커피)와 건강 관계 에스프레소 커피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음료 중 하나로 맛과 분위기를 즐기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에스프레소를 즐기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동안 커피 섭취는 건강에 해로운 면이 있다고 알려져 왔었지만 최근 연구들은 적정량의 커피가 오히려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최근 연구들은 커피가 여러 만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커피가 일부 암(간암, 대장암, 자궁내막암, 전립선암)과 대사성 질환(제2형 .. 상식 2023. 7. 22. 피부 노화 원인과 효율적 필수 예방법 피부 노화는 태양의 자외선(UV)에 장시간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 때 발생하는데. 피부 노화의 주요 요인은 중 하나는 피부에 침투하여 피부 구조와 기능에 손상을 입히는 UVB(단파) 및 UVA(장파) 광선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의 분해가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피부 노화 핵심 원인: 콜라겐과 엘라스틴 파괴 콜라겐과 엘라스틴이란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피부의 중간층인 진피에서 발견되는 두 가지 필수 단백질로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피부에 구조적인 지지력과 탄력을 제공하여 피부의 탄력과 유연성을 유지합니다. 콜라겐 분해 특히 철과 구리와 같은 금속 이온이 존재할 때 ROS(Reactive Oxygen Species)는 콜라겐을 분해합니다. 콜라겐 섬유가 파편화되고 피부 구조를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됩니다. 그 .. 상식 2023. 7. 22. 햇빛의 피부에 미치는 긍정 효과와 부정 영향 햇빛은 우리 피부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칩니다. 햇빛에 어느 정도 노출 시 신체에 유익한 반면, 과도한 노출은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피할 수 없는 햇빛이 피부에 미치는 긍정 영향과 부정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햇빛의 긍정 효과와 부정 영향 햇빛의 긍정 효과 비타민 D 천연 공급원 햇빛의 가장 큰 긍정 효과는 비타민 D의 천연 공급원이라는 점 입니다. 피부가 태양의 UVB 광선에 노출되면 비타민 D가 신체 내 합성됩니다. 비타민 D는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의 다양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영양소 입니다. 뼈 건강: 비타민 D는 소화기관에서 칼슘과 인을 적절히 흡수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는 튼튼하고 건강한 뼈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혈중 칼슘.. 상식 2023. 7. 22. 녹림 綠林이 도적이란 뜻을 가지게 된 유래 배우기 녹림하면 푸르르 숲이 생각나시나요? 그런데 녹림에는 도둑이란 뜻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한말 시대로 왕망이 신(新)이라는 나라를 세우면서 백성들이 삶이 피폐해지는데 이때 녹림산에서 웅거산 도적들이 스스로를 녹림병으로 칭하게 됩니다. 녹림 綠林 과 녹림병의 뜻과 유래 배우기 出典◀『漢書』王葬傳·『後漢書』劉玄傳 녹림( 綠林)의 뜻 녹림은 푸른 숲이란 의미이지만 도적의 소굴이한 뜻도 있다 綠 푸를 록(녹) 林 수풀 림(임) 녹림( 綠林)의 유래 전한말(前漢末) 대사마 왕망(王葬)이 마침내 왕위를 빼앗아 천자가 된후 국호를 신(新)이라고 고치고 나서 새로운 정책이 눈코 뜰새없이 쏟아져 나왔다. 관직도 바뀌고 지명도 바뀌었으며 토지의 겸병(兼併, 둘이상을 합쳐서 소유)을 없애고 노비를 해방한다고 하며 「왕전제도(..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2. 노즉기린불여노마 老即麒麟不如駑馬 고사성어 뜻과 유래 노즉기린불여노마는 하루에 천리를 가는 명마도 기력이 다하면 노마(둔한 말)보다 못하다는 뜻으로 영웅 또는 강대국도 힘이 약해지는 순간이 있기에 때에 맞추어 하늘의 힘을 빌려야 하는 중요성을 설파한 유세가 소진의 말을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노즉기린불여노마 老即麒麟不如駑馬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전국책 戰國策』 齊下·閔王下 노즉기린불여노마 뜻 老 늙을 노, 即 곧 즉, 麒기린 기, 麟기린 린, 不如 같지않다, 駑 둔할 노, 馬 말 마 노즉기린불여노마 유래 노기린불여노마에서 기린은 우리가 동물원에서 보는 진짜 기린(giraffe)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성인(聖人)이 나타나 왕도(王道)가 행해지면 나타난다는 서수(瑞獸)인 기린(麒麟)도 아니다. 하루에 천리를 가는 명마(名馬)로 기(麒)란 검푸른 빛..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2.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95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