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부족현치아 不足懸齒牙 뜻과 유래 배우기 부족현치아 不足懸齒牙의 치아는 말의 끝 또는 입의 끝이란 뜻으로 부족현치아는 치아 사이에 두기 부족할 정도록 언급할 만한 가치가 없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사기 숙손통전에서 찾을 수 있다. 부족현치아 不足懸齒牙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숙손통전 叔孫通傳 부족현치아 不足懸齒牙 뜻 不足懸齒牙 아니 부 / 족할 족 / 매달 현 / 이빨 치 / 어금니 아 치아 사이에 두기는 부족하다는 의미로 특히 언급할 정도의 것이 못된다 라는 뜻 부족현치아 不足懸齒牙 유래 진(秦)의 2세 황제 원년 기현(蘄縣)의 대택향(大澤鄕)에서 농민군을 이끌고 반기를 날리며 일어난 진승(陳勝)·오광(吳広)은 서진하여 순식간에 진(陳)에 입성했으며 국호를 장초(張楚)라 하고 진승은 왕을 칭했다. 그 소식을 들은 2세 황제는 박사들..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8. 고사성어 부마 駙馬 뜻과 유래 배우기 부마 駙馬는 임금의 사위 또는 공주의 남편이란 뜻으로 원래는 예비 말을 의미했으나 한 무제때 부마도의란 관청이 설립되고 그 자리에 공주의 남편이 임명되면서 그 유래가 시작되었다. 부마 駙馬 뜻과 유래 출전 出題 『수신기 搜神記』 부마 駙馬 뜻 駙 곁마 부 馬 말 마 임금의 사위, 공주의 남편을 뜻하며 부마도위의 줄임말이다. 부마 駙馬 유래 부마(駙馬)란 원래 예비의 말을 뜻했으나 바뀌어 천자의 여서(女壻…사위)란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 시초는 한무제(漢武帝) 때 부마도위(駙馬都尉一副馬를 맡아보는 관)를 설치하여 공주(公主)의 남편을 그 자리에 임명한데서 시작된다. 하나 이것에 대해서『수신기(搜神記)』에 다음과 같은 고사(故事)가 적혀 있다. 옛날 농서((隴西)에 신도탁(辛道度)이라는 자가 있었다. 지방..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8. 고사성어 부득요령 不得要領 뜻과 유래 배우기 부득요령 不得要領의 요령(要領)은 중요한 점이나 핵심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부득요령이라고 하면 중요한 점을 놓치거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는 상황을 뜻하게 됩니다. 그 유래는 사기와 한서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부득요령 不得要領 뜻과 유래 출전 出題 『사기 史記』 대완전大宛傳 『한서 漢書』 장건전 張騫傳 부득요령 不得要領 뜻 不 아닐 부 得 얻을 득 要 요긴할 요 領 거느릴 령(영) 어떤 일이나 말(또는 글)의 뜻이나 핵심을 알 수 없다는 뜻 부득요령 不得要領 유래 한(漢)나라 무렵까지 만리장성 서쪽은 수수께끼였다. 모랫바람이 휘몰아치는 사막, 북에는 흉노가 있고 때때로 남하하여 중국을 침범했다. 감숙(甘肅)에는 월씨(月氏)의 나라가 있었다. 그 남쪽에는 서장(티벳)의 강(羌)이 유목을 하고있었으나 사막..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8. 고사성어 부기미 付驥尾 뜻과 유래 배우기 부기미 付驥尾는 좀 부족한 사람도 큰 인물을 따라 뭔가를 이룰 수 있다는 뜻과 큰 인물에게 인정되어 세상에 밝혀진다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 유래는 사기에서 찾을 수 있다. 부기미 付驥尾 뜻과 유래 출전 出題』 『사기 史記』 백이열전 伯夷列傳 부기미 付驥尾 뜻 付 줄 부, 驥 천리마 기, 尾 꼬리 미 큰 인물에게 인정되어 자신의 참된 능력이 비로소 세상에 밝혀진다는 뜻 큰 인물의 힘을 빌어 출세한다 또는 능력을 발휘한다는 뜻 부기미 付驥尾 유래 기(驥)는 기(騏)·화(驊)·유(騮)와 같이 어느 것이나 하루에 천리를 달린다는 명마(名馬)를 말한다. 따라서 명마의 꼬리에 붙는다는 것이 말의 뜻이다. 태고(太古)의 황제(皇帝)부터 한무제(漢武帝)까지 약 3천년 간의 역사를 1. 본기(本紀 - 帝王의..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7.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뜻과 유래 배우기 복수불반분은 '한번 쏟아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헤어지 부부가 다시 결합할 수 없다거나 이미 끝난 일을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그 유래는 주나라 문왕 시절에 제 나라 제후로 봉해진 태공망 여상의 이야기이다.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습유기 拾遺記』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뜻 覆 다시 복 水 물 수 不 아닐 부 返 돌이킬 반 盆 동이 분 한번 쏟아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는 뜻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유래 주(周)의 서백(西伯 - 文王)이 어느 날 사냥을 나가려고 점을 쳤는데 「얻는 것은 용(龍)도 아니고 이(麗)도 아니고 곰(熊)도 아니고 불곰(羆)도 아니고 호랑이(虎)도 아니고 표범(貔)도 아니고 얻는 것은 패왕(覇王)의 보좌(輔佐)일 것이다」..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7. 고사성어 보원이덕 報怨以德 뜻과 유래 배우기 보원이덕 報怨以德은 해석이 필요없는 쉬운 말이다. 글자 그대로 원망을 덕으로 보답한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노자에서 찾을 수 있다. 보원이덕 報怨以德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노자 老子』 보원이덕 報怨以德 뜻 報 갚을 보 怨 원망할 원 以 써 이 德 클 덕 원한이 있는 자에게 덕으로 갚는다는 뜻으로 복수를 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보원이덕 報怨以德 유래 원문에서는 무위(無爲)를 하고 무사(無事)를 일삼고 무미(無味)를 맛본다. 소(小)를 대(大)로 하고 적음(少)을 많다(多)고 한다. 원한을 갚는데 덕으로써 한다 爲無爲 事無事 味無味 大小多少 報恩以德 으로 되어 있다. 「무미(無味)」란 「무위(無爲)」나 「무(無)」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무위(無爲)」도 「무(無)」도 최고의 덕이다. 「도(道)」의 상..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고사성어 병입고황 病入膏肓 뜻과 유래 배우기 고(膏)는 심장 밑 엷은 뼈, 황(肓)은 바로 그 밑 횡격막으로 이 사이로 병이 들어간다는 것은 병이 손을 쓸 수 없는 곳으로 들어간다는 것으로 병이 깊고 무거워져 회복할 가망성 없는 상태나 또는 나쁜 버릇.습관 등이 손 쓸수 없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한다. 병입고황 病入膏肓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 병입고황 病入膏肓 뜻 病 병 병 入 들 입 膏 기름 고 肓 명치끝 황 병이 고황의 끝가지 도망갔다는 뜻으로 병을 치료 할 수 없는 위중한 상태를 의미한다. 나쁜 버릇 습관 등이 손을 쓸 수 없을 정도가 된 상태 병입고황 病入膏肓 유래 이야기는 기원전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춘추시대의 다섯 강국(오패)중에서도 당시 진(晋)은 첫째 가는 강국이었다. 그 진(晋)나라의 경공(景公)이 어느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고사성어 병사지야 兵死地也 뜻과 유래 배우기 병사지야는 죽음을 각오하고 전쟁에 임해야 한다는 뜻으로 조 나라 명장인 조사(趙奢)가 그 아들 조괄(趙括)의 병법에 대한 이론만을 자랑하는 점을 꾸짓기 위해 한 말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병사지야 兵死地也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염상.인상여전 廉頰·藺相如傳 병사지야 兵死地也 뜻 兵 병사 병 死 죽을 사 地 땅 지 也 잇기 야 병사는 땅에서 죽는다는 뜻으로 전쟁을 목숨을 걸고 싸워야 한다는 속 뜻를 가지고 있다. 병사지야 兵死地也 유래 「병(兵)은 사지(死地)다」라는 말은 「싸움이란 목숨을 걸고 하는 것이다」라는 뜻이다. 이것은 「문경지교(刎頸之交)」로 유명한 염파(廉頗)·인상여(藺相如)와 나란히 조(趙)에서 명장(名將)으로 이름 높았던 조사(趙奢)가 한 말로서 남아있다. 조사(趙奢)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법삼장 法三章 뜻과 유래 배우기 진시황의 진나라는 가혹한 법가사항을 기반으로 나라를 운영했습니다. 진나라를 멸망시킨 유방인 가혹한 법가 사상을 없애며 법률을 딱 3개만 남겨 민심을 얻었는데 그 3개의 법률을 법삼장이라고 부릅니다. 법삼장 法三章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고조본기 유후세가 高祖本記·留侯世家 법삼장 法三章 뜻 法 법 법 三 석 삼 章 글 장 중국 한 나라 고조인 유방이 진(秦)나라의 가혹한 법을 없애고 단 세 가지 죄 만을 정한 법을 뜻함 법삼장 法三章 유래 한(漢)의 원년(B.C 206) 10월 유방(劉邦)은 진군(秦軍)을 격파하고 패상(覇上)에 도달했다. 진왕(秦王) 자영(子學)은 스스로 나와 항복했으며 진(秦)의 마침내 멸망했고 유방은 함양(咸陽)으로 입성해 마침내 숙원(宿願)을 달성한 것이다. 유방은 진(..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고사성어 백안시 白眼視 뜻과 유래 배우기 백안시는 흰자위 눈으로 옮겨 본다는 뜻으로 바꿔 말해서 남을 차갑게 취급하고 냉대한다는 숨은 뜻을 가지고 있다. 백안시는 완적이라는 사람의 이야기 속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백안시 白眼視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진진 晋秦』 완적 阮籍傳 백안시 白眼視 뜻 白 흰 백 眼 눈 안 視 볼 시 흰 눈으로 본다는 뜻으로 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봄을 의미한다 백안시 白眼視 유래 완적(阮籍)이란 사나이가 있었다. 가만이 있어도 보옥(寶玉)은 눈에 띈는 법, 완적 역시 사람들 틈에 섞여 있으면 눈에 띄는 얼굴이다. 완적은 자기 혼자 높은 산에 올라가 만족하고 있는 것 같은 점이 있었고 제 생각대로 행동해서 남의 눈치를 살피는 일이 없었다. 그러면서도 기쁜지 슬픈지 언제나 안색은 변하지 않는다. 책을 읽기 시작..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