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고사성어 백주지조 柏舟之操 뜻과 유래 배우기 백주지조는 중국 주 나라 시절 공강(共姜)이란 여인이 남편을 사별한 후 자신의 절개를 보여주기 위해 백주라는 시를 지어 절개를 지킨다는 뜻으로 그 유래를 시경에서 찾을 수 있다. 백주지조 柏舟之操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시경 詩經』 백주지조 柏舟之操 뜻 백주라는 시를 지어 절개를 지킨다는 뜻으로, 남편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를 지키는 것을 의미 백주지조 柏舟之操 유래 서주(西周) 말기에는 이미 음풍(深風)이 퍼지고 있었고 정풍(正風)은 점차 사라져 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예의와 의(義)를 지키는 전통은 거의 사라진 시기였지만 그런 상황 속에서도 홀로 정절을 지킨 용감한 여성이 있었습니다. 그녀의 이름은 공강(共姜)이었습니다. 주(周) 여왕(厲王…BC 878~828) 시대, 위국(위국)의 희후(僖侯)에..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3. 고사성어 미생지신 尾生之信 뜻과 유래 알아보기 미생이란 사람의 이름을 활용한 미생지신은 미생의 믿음이란 뜻이다. 미생이라는 사람은 매우 신의가 두터웠던 사람으로 약속을 매우 잘 지키는 사람을 일컫는다. 그러나 너무 지나쳐 융통성 없는 사람을 뜻하기도 하는데 장자편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미생지신 尾生之信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도척편 盜跖篇 미생지신 尾生之信 뜻 尾 꼬리 미 生 날 생 之 갈 지 信 믿을 신 미생의 믿음이란 뜻으로 약속을 잘 지키고나 또는 융통성 없음을 뜻하기도 한다. 미생지신 尾生之信 유래 노(魯)나라에 미생(尾生…이름은 高)이라는 아주 정직한 사람이 있었다. 남과 약속을 하면 무슨일이 있어도 그 약속을 지키지 인물이다. 그런데 그 사나이가 어느 날 여자친구와 데이트 약속을 했다. 「내일 밤 개울 다리 밑에서 만나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3. 미망인 未亡人 뜻과 유래: 무시무시한 미망인이란 호칭 미망인에 그렇게 무시무시한 뜻이 있는지 몰랐다. 너무나 나주 듣먼 미망인 한자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아직 죽지 않은 여인'이란 뜻으로 남편이 죽으면 원래 같이 죽어야 하는데 아직 죽지 않은 여인을 일컫는 말로 그 유래는 좌전에서 찾을 수 있다. 미망인 未亡人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좌전 左傳』 성공편 成公篇 미망인 未亡人 뜻 未 아닐 미 亡 망할 망 人 사람 인 (남편이 죽었으나) 아직 망하지(죽지) 않은 여인이란 뜻으로 남편을 여윈 부인을 의미한다. 미망인 未亡人 유래 춘추(春秋) 때 노(魯)나라에서는 성공(成公)이 즉위하고 있었는데, 그 9년 노(魯)의 백희(伯姬)가 송공(宋公)에게 시집가게 되어 계문자(季文子)라는 자가 희(姬)를 송(宋)으로 호위해 갔다. 계문자는 무사히 그 소임을 다하고 노(..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 고사성어 미봉 彌縫 뜻과 유래 알아보기 미봉책의 미봉은 재대로 된 처방이 아닌 잘못된 점을 급하게 땡방식으로 수정(꿰매는 것)하는 것을 뜻하며 그 유래는 좌전에 나오는 춘추전국 시대 주 환공과 정나라 장왕간의 전쟁 이야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미봉 彌縫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좌전 左傳』 미봉 彌縫 뜻 彌 미륵 미 縫 꿰맬 봉 빈 구석이나 잘못된 곳을 꿰맨다는 뜻으로 임시로 급하게 처리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미봉 彌縫 유래 주(周) 환왕(桓王) 13년(B·C 707) 춘추시대 초기인 어느 가을날의 일이었다. 주환왕(周桓王)은 쇠약해진 주(周)의 세력을 다시 한번 복구해 보려고 생각했다. 마침 그 무렵 정(鄭)의 장공(莊公)은 한창 기세를 올리고 있을 때라 주왕(周王) 같은 것은 문제시 하지도 않을 듯이 보였다. 그래서 환왕은 장공을 토벌해..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 고사성어 문전작라 門前雀羅 뜻과 유래 알아보기 회사에서 한창 잘 나가던 사람이 뒤로 밀려나면 더 이상 그 사람을 찾는 이들은 줄어든다. 이런 때 사용할 수 있는 성어가 문전작라이다. 문전작라는 문앞에 설치란 새그물이란 뜻으로 권세가 약해지면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진다는 의미이다. 문전작라 門前雀羅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서 漢書』 정당시전찬 鄭當時傳賛 문전작라 門前雀羅 뜻 門 : 문 문, 前 : 앞 전, 雀 : 참새 작 羅 : (일을)벌일 라 문 밖에 새그물을 칠 만큼 찾아오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힘과 권세가 약해지면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진다는 뜻을 비유적으로 말한다. 그 반대말은 문전성시(門前成市) 이다. 문전작라 門前雀羅 유래 『사기(史記)』의 「급·정열전(汲·鄭列傳)」에는 다 함께 한무제(漢武帝) 시절 벼슬하여 구경(九卿)의 지위까지 오른 일..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 고사성어 문전성시 門前成市 뜻과 유래 문전성시는 집앞에 시장처럼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한서의 정숭전에서 찾을 수 있다. 후한 애제의 충신 정숭이 애제에게 신의 문전에는 아첨하러 오는 객이 저자같이 모여들어도 신의 마음은 물과 같이 청렴하다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문전성시 門前成市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서 漢書』 孫寶傳·鄭崇傳 문전성시 門前成市 뜻 門 문 문 前 앞 전 成 이룰 성 市 저자 시 문앞이 시(시장)을 이룬다는 뜻으로 권력자의 집 앞에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것을 뜻한다. 문전성시 門前成市 유래 후한(後漢)의 성제成帝)는 유명한 중국 고대의 언어학자 양웅(楊雄)에게 연구비를 주어 『방언(方言)』을 완성시킨 황제이나 그가 죽고 다음 황제인 애제(哀帝)가 즉위하자 조정의 실권은 왕씨 일족에게서 부씨(傅氏…애제(哀帝)의..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 고사성어 문경지교 刎頸之交 뜻과 유래 알아보기 문경지교는 목을 벨 수 있는 친구라는 뜻으로 생사(生死)를 같이 할 수 있을 정도의 매우 소중한 친구를 의미한다. 문경지교에 대한 유래는 사기 인상여열전에 나오는 조나라 상경인 인상여와 조나라 명장 염파의 이야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문경지교 刎頸之交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인상여열전 藺相如列傳 문경지교 刎頸之交 뜻 刎 목 벨 문 頸 목 경 之 갈 지 交 사귈 교 매우 소중한 친구(friend)란 뜻 문경지교 刎頸之交 유래 인상여(蘭相如)는 조혜문왕(趙惠文王)의 총신(寵臣) 무현(繆賢)의 식객에 지나지 않았으나 화씨의 벽(和氏之璧)을 잘 보존하고 귀국한 공에 의해 상대부(上大夫)가 되었다. 다시 그 후 3년째(B.C 28)되는 해 진왕(秦王)과 조(趙王)이 면지(澠池)에서 회합했을 때 조왕이..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 고사성어 묵수 墨守 또는 묵적지수 뜻과 유래 알아보기 묵수(墨守)는 송나라 출신 제자백가 중 한명인 묵자가 끝까지 성을 지킨다는 뜻으로 자신의 소신이나 전통등을 끝가지 지키는 것을 의미한다. 고사성어 묵수 또는 묵적지수는 묵자가 초왕과 나눈 이야기를 통해 초나라의 침략을 막은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묵수 墨守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묵자 墨子』 공수편 公轍篇 묵수 墨守 뜻 墨 먹 묵 守 지킬 수 묵수 墨守 유래 묵자(墨子)는 『사기(史記)』에 의하면 이름은 적(翟)이라 하고 송(宋)의 대부(大夫)로 방전술(防戰術)에 능하며 경제 절약을 말했으나 공자와 같은 시대의 사람인지 그 후의 사람인지 불명하다고 씌어 있다. 오늘날 남아 있는『묵자(墨子)』라는 책은 그의 생각을 기술한 것으로 『겸애설(兼愛說)』을 주창(主唱)하여 자타의 구별을 세우지 않고 자기를 사랑하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 고사성어 무위이화 無爲而化 뜻과 유래 알아보기 무위이화 無爲而化는 억지로 무엇을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잘 된다는 뜻으로 특히 정치가나 상사들이 억지로 무엇을 하는 것이 백성이나 직원들을 힘들게 한다는 것을 비유하고 있다. 이 고사성어는 노자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무위이화 無爲而化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노자 老子』 무위이화 無爲而化 뜻 無 없을 무 爲 할 위 而 말 이을 이 化 될 화 애써 힘들게 하지 않아도 잘된다는 뜻이다. 무위이화 無爲而化 유래 『국어대사전』에 의하면 이 말은 「성인의 덕(德)은 성대하므로 특별히 도덕교육 같은 것을 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맡겨 두어도 백성이 감화 된다」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 말은 위정자(爲政者)의 성덕이 높은 점이나 그 성대(聖代)를 예찬 할 때 쓰는 말 같다. 그러나 노자(老子)는 말한다. 천하..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 무용지용 無用之用 뜻과 유래 알아보기 무용지용은 무용, 즉 쓸모없는 것의 용(쓰임)이란 뜻이다. 쓸모없는게 쓸모 있다는 것은 무슨의미일까? 장자는 많은 비유를 통해 무용의무인 무용지용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조금이라도 남보더 앞서고 튀고 싶은 지금 세태에 생각해볼 성어다. 무용지용 無用之用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인간세편 人間世篇 무용지용 無用之用 뜻 無 없을 무 用 쓸 용 之 갈 지 「쓸모없는 것의 쓰임」이라는 뜻으로, 언뜻 보아 별 쓸모 없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 도리어 크게 쓰임. 무용지용 無用之用 유래 유용(有用), 즉 소용이 된다는 것은 중요한 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천박한 인간의 지혜로 요랑하는 유용(有用)이 진정한 유용일지는 의문이 든다. 또 하나 위의 「도(道)」의 입장에서 보면 범속(凡俗)한 인간들이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31.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