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수어지교 水魚之交 뜻과 유비 제갈공명의 이야기 수어지교 水魚之交는 유비가 제갈공명과 함께 지내는 것은 물고기가 물 속에 있는 것과 같다고 표현한 것에서 유래하는데 그 뜻은 주군과 신하의 끊을 수 없는 사이를 말하는 것이었으나 지금은 깊은 친구 관계에도 넑리 사용되고 있다. 수어지교 水魚之交 뜻과 유비 제갈공명의 이야기 수어지교 水魚之交 출처와 등장인물 출처 『삼국지 三國誌』 촉지·제갈량전 蜀志·諸葛亮傳 등장인물: 유비(劉備), 제갈공명(諸葛孔明) 수어지교 水魚之交 뜻과 한자 水 물 수 魚 물고기 어 之 갈 지 交 사귈 교 물고기와 물의 관계처럼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친구관계를 뜻한다. 수어지교 水魚之交 속 유비와 제갈공명 이야기 한(漢)의 재흥(再興)을 목적하는 유비(劉備)가 때마침 몰아치는 풍설을 무릅쓰고 관우와 장비에게 핀잔을 받으면서도 세 번이..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9. 수식변폭修飾邊幅 뜻과 한자 그리고 유래 수식변폭 修飾邊幅은 중국의 명장 마원(馬援)과 공손술과 관련된 고사성어로 변폭(베나 비단의 가장자리)를 닦고 꾸민다는 뜻으로 정작 중요한 일에는 신경쓰지 않고 사소한 일에만 신경쓰고 겉치레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수식변폭修飾邊幅 뜻과 한자 그리고 유래 수식변폭修飾邊幅 출처.출전. 『후한서 後漢書』 마원전 馬援傳 수식변폭 修飾邊幅 뜻과 한자 딱을 수(修) 꾸밀 식(飾) 가장자리 변(邊) 너비 폭(幅) 베나 비단의 가장자리를 닦거나 꾸민다는 뜻으로 중요한 것에는 신경쓰지 않고 겉치레에만 신경쓰는 것을 말한다. 수식변폭 修飾邊幅 유래 건무(建武) 4년 10월에 마원(馬援,현재 베트남 지역을 토벌한 중국의 명장)이 서주상장군 외효(西州上將軍陳岩)의 사신으로 촉(蜀)나라의 수도인 성도(成都, 청두)로 갔다. 이때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9. 견강부회와 같은 수석침류 漱石枕流 출처와 뜻과 유래 수석침류 漱石枕流는 '견강부회' 비슷한 뜻으로 자신이 잘못하고도 그 실수를 인정하지 않고 계속 포장하는 상황이나 고집을 의미한다. 그 유래는 죽림칠현 사조가 유행하던 시기 진(晉)나라 초기 손초(孫楚)와 그의 친구인 왕제(王濟)의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수석침류 漱石枕流 출처와 뜻과 유래 수석침류 漱石枕流 출처.출전 『晋書』 孫楚傳 수석침류 漱石枕流 뜻과 한자 漱 양치질할 수 石 돌 석 枕 베개 침 流 흐를 류(유) 돌을 베개삼고 흐름에 양치한다는 뜻으로 말 실수 후 그럴듯하게 포장하는 것 또는 이기려는 강한 고집을 의미한다. 수석침류 漱石枕流 유래 진(晉)나라 초기 손초(孫楚)라는 사나이가 있었다. 자(字)는 자형(子荊)이며 문재(文才)가 있어 무리에서 뛰어났으나 향리에서는 도무지 시원치가 못했다...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8. 좌고우면과 같은 의미인 수서양단 首鼠兩端 출처 및 뜻과 유래 수서양단 首鼠兩端은 좌고우면(左顧右眄)과 같은 의미로 쥐가 구멍에서 머리를 내밀고 나갈지 말지 고민하는 상황을 뜻하는 고사성어로 어떤 일에 대해 결정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거나 양다기 걸치는 상황에 사용한다. 수서양단 首鼠兩端 출처 및 뜻과 유래 수서양단 首鼠兩端 출처.출처 『사기 史記』 위기후 무안후전 魏其侯·武安侯傳 수서양단 首鼠兩端 뜻과 한자 首 머리 수 鼠 쥐 서 兩 두 량(양) 端 끝 단 쥐가 쥐구멍에서 머리만 내밀고 나갈까 말까를 망설인다는 뜻으로 결정을 못하는 양다리 상황을 말한다. 좌고우면(左顧右眄)도 비슷한 뜻이다. 수서양단 首鼠兩端 유래 전한(前漢) 제4대 경제(景帝)부터 제5대 무제(武帝)에 걸쳐 서로 호적수(好敵手)가 되어 티격 태격 싸움을 거듭하던 위기후(魏其侯) 두영(竇嬰)과 무안..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8. 手談 (수담)의 뜻과 유래: 바둑과 관련성 최근 '국민은행, VIP고객 초청 ‘KB GOLD&WISE 여의도 手談(수담)’ 바둑 행사 개최'라는 기사 제목을 보았다. 여기서 手談(수담)이란 말하지 않아도 의사가 통한다는 뜻으로 바둑을 부르는 별이다. 手談 (수담)의 뜻과 유래 手 손 수 談 말씀 담 수담은 말을 하지 않아도 의사가 통한다는 뜻이다. 수담 출전: 군선전 群仙傳 왕적신(王積新)이 어느 날 밤 마을 여관에 투숙하고 있을 때 여자가 바둑을 두고 있는 것을 벽 너머로 들었다. 이튿날 아침 보니 바둑판이 없었으므로 물어보니 수담으로 두었다고 했는데 그 후부터 바둑을 수담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 그 유래이다. 2023.08.17 - [중국고전배우기] - 고사성어 소인한거위불선 小人閑居爲不善 뜻과 유래 배우기 고사성어 소인한거위불선 小人閑居爲..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7. 고사성어 소인한거위불선 小人閑居爲不善 뜻과 유래 배우기 소인한거위불선 小人閑居爲不善는 쉽게 설명하면 소인(배)은 혼자 나두면 쓸데없는 나쁜일을 행한다는 뜻으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의 몸가짐의 조심성을 강조하는 성어로 그 유래는 논어와 대학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소인한거위불선 小人閑居爲不善 뜻과 유래 소인한거위불선 小人閑居爲不善 출처.출전 『논어 論語』·『대학 大學』 소인한거위불선 小人閑居爲不善 뜻과 한자 小 작을 소 人 사람 인 閑 한가할 한 居 살 거 爲 할 위 不 아닐 부 善 착할 선 소인은 한가로와 지거나 혼자 있으면 선(좋은 일)을 행하지 않는다는 뜻 소인한거위불선 小人閑居爲不善 유래 "소인(小人)"이라는 단어는 그대로 작은 사람을 의미하기도 하며, "걸리버 여행기"에 나오는 난장이 나라의 경우와 같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는 어린이나 젊은 사람을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7. 고사성어 송양지인 宋襄之仁 뜻과 유래 송양지인은 송(宋)나라 양공(襄公)이 쓸데없는 인정 仁政(적이 곤란한 틈을 노려 공격하는 것)을 배푼 것을 비꼬는 말로 쓸데 없는 인정(인자함)이란 뜻으로 그 유래는 춘추좌씨전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송양지인 宋襄之仁 뜻과 유래 출처.출전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十八史略』 송양지인 宋襄之仁 뜻 宋 성씨 송 襄 도울 양 之 갈 지 仁 어질 인 송나라 양공(襄公)의 (어리석은) 인자함으란 뜻으로 쓸데없는 인정을 배푸는 것을 의미한다. 송양지인 宋襄之仁 유래 송나라 양공(襄公)의 자애(慈愛)(연민)라는 뜻이다. 송(宋)은 은(殷)의 후예로 은의 제사를 단절시키지 않으려는 배려에서 봉해진 소국이다. 따라서 작위는 최고인 공작이기는 하나 당초부터 기반은 약했다. 거기다 지리적으로는 남북 세력에 끼어 있어 끊임..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7. 소심익익 小心翼翼과 소담 小膽 뜻과 한자 유래 배우기 대담하다 할때 '대담'의 반대말은 소담(小膽)으로 그 유래는 '소심익익'이란 성어에서 왔습니다. 원래 '소심익익'은 자신의 마음을 작게 하고 공경한다는 뜻이었으나 현대에는 마음이 작고 약하여 작은 일에도 겁을 내는 모양의 소담으로 변형되었습니다. 소심익익 小心翼翼 뜻과 유래 배우기 출처.출전: 『시경 詩經』 大雅篇「蒸民」 소심익익 小心翼翼 뜻과 한자 小 작을 소 心 마음 심 翼 날개 익 만사를 조심히 처리한 다는 뜻이나 지금은 마음이 작고 약해 소심한 것을 뜻한다. 소심익익 小心翼翼 유래 "소심익익(小心翼翼)"은 '시경 詩經'에 등장하는 시로 이 시는 주선왕(周宣王 - 기원전 827~782)이 대부 중산보(仲山甫)에게 명하여 제(齊) 나라의 도성을 쌓도록 했을 때, 같은 주조(周朝) 시기의 명신 윤길보(..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7. 세유백락연후유천리마, 백락일고 뜻과 유래 '오펜하이머'가 '맨하튼 프로젝트'를 주도한 이유 중 하나가 '레슬리 그로브스'란 군 총책임자가 오펜하이머의 특별한 능력을 보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세유백락 연후유천리마는 이 경우처럼 훌륭한 재능도 그 진가를 알아보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세유백락연후유천리마 백락일고 뜻과 유래 출처.출전: 한유 韓愈의 『잡설 雜說』下 세유백락 연후유천리마 世有伯樂然後有千里馬 뜻과 한자 世 인간 세 有 있을 유 伯 맏 백 樂 노래 악 然 그럴 연 後 뒤 후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이) 馬 말 마 세상에 백락이 있어야 천리마가 있을 수 있다는 뜻으로 아무리 재능이 훌륭하여도 그 진가를 알아보는 사람이 있어야한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세유백락 연후유천리마 世有伯樂然後有千里馬 유래 하루에 천리를 달리는 명마(名馬)란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7. 고사성어 선즉제인 先則制人 뜻과 유래 배우기 선즉제인은 남보다 먼저 선수를 치면 남을 제압할 수 있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항우와 관련이 있다. 진나라가 멸망하는 시기에 항우의 작은아버지인 항량은 당시 강동(江東)의 회계군 군수였던 은통(殷通)의 목을 먼저 쳐서 선즉제인을 실천했다. 선즉제인 先則制人 뜻과 유래 배우기 출처.출전 『사기 史記』 항우본기 項羽本紀 선즉제인 先則制人 뜻과 한자 先 먼저 선 則 법칙 칙 制 절제할 제 人 사람 인 선즉제인은 남보다 먼저 일을 도모하면 능히 남을 누를 수 있다는 뜻이다. 선즉제인 先則制人 유래 진(秦)의 二세 원년(元年 B C 209) 7월 안휘성 대택향(大澤鄕)에서 진(秦)의 폭정에 반항하여 봉기한 진승(陳勝)·오광(吳廣)의 농민군은 하남성에서 구6국(舊六國)의 귀족 - 위(魏)의 구관료(舊官僚)였던 장이(..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5. 이전 1 ··· 5 6 7 8 9 10 11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