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사이비자 似而非者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사이비자는 겉은 닮았지만(似 닮을 사) 실제로는 가짜라는 뜻으로 우리가 실 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사이비와 같은 뜻이다. 그 유래는 공자와 맹자에서 찾을 수 있다. 사이비자 似而非者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사이비자 似而非者 출처 『맹자 孟子』 진심편 盡心篇 사이비자 似而非者 뜻과 한자 似 닮을 사 而 말 이을 이 非 아닐 비 者 놈 자 사이비자는 겉으로는 닯은듯 보이나 실제로는 아닌 가짜란 뜻이다. 사이비자 似而非者 유래 맹자의 제자 만장(萬章)이 스승에게 물었다. 「공자가 진(陳)으로 가셨을 때 『어찌 돌아가지 않는가, 우리 당(黨)의 사(士)는 광간(狂簡)으로써 진취(進取) 그 처음을 잊지 않는다』고 말씀하셨는데 어째서 노(魯)의 광사(狂士) 같은 것을 생각하셨을까요?」 「공자는 『중도(中道)』..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2. 사면초가 四面楚歌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사면초가는 동서남북 사방이 적으로 둘려싸여 고립된 상태를 뜻한다. 그러나 그 단어에는 어디에도 적을 의미하는 단어는 보이지 않는다. 사면초가가 왜 적에게 포위된 도움받을 수 없는 상태를 뜻하는지를 알기위해서는 그 유래를 알아야한다. 사면초가 四面楚歌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사면초가 출처 『사기 史記』 항우본기 項羽本紀 사면초가 四面楚歌 뜻과 한자 四 넉 사 面 낯 면 楚 초나라 초 歌 노래 가 사면초가는 사면에서 들리는 초나라 노래란 뜻으로 사방이 적에게 포위된 고립된 상태를 의미한다 사면초가 四面楚歌 유래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는 한왕(漢王) 유방(劉邦)과 5년 동안에 걸쳐 천하의 패를 다투었으나「힘(力)」과「기(氣)」만을 믿은 나머지 범증(范增)과 같은 모장(謀將)에게까지 버림을 받고 점차..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2. 빙탄불상용 氷炭不相容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예시 빙탄불상용 氷炭不相容은 얼음과 물은 성질이 달라 서로 같이 화합할 수 없다는 뜻으로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빙탄불상용이다처럼 심심찮게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고사성어이다. 빙탄불상용 氷炭不相容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예시 빙탄불상용 출처 사기 『史記』 골계전 滑稽傳 빙탄불상용 氷炭不相容 뜻과 한자 氷 얼음 빙 炭 숯 탄 不 아닐 부 相 서로 상 容 얼굴 용 빙탄불상용은 얼음과 불은 성질이 달라서 같이 있을 수 없다는 뜻으로 소인과 군자 등 서로 성질이 다른 것은 같이 화합이 불가능 함을 의미하는데 사용됨 빙탄불상용 氷炭不相容 유래 한무제(漢武帝)때 유별나게 남다른 명신으로서 동방삭(東方朔)이란 사나이가 있었다. 대단한 박식가(博識家)로 무엇을 물어도 모르는 것이 없어 한무제의 심심치 않은 좋은 말상대였으며 어전..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2. '비입화하충 飛入火夏蟲' 뜻, 유래, 한자 그리고 출처 비입화하충은 한여름 날아서 불에 뛰어드는 벌래라는 뜻으로 스스로 멸망을 초래하는 것을 비유한다. 그 유래는 양서의 도개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입화하충 飛入火夏蟲 뜻과 유래 비입화하충 출처 出處 양서 梁書 도개전 到漑傳 비입화하충 뜻과 한자 飛 : 날 비 入 : 들 입 火 : 불 화 夏 : 여름 하 蟲 : 벌레 충 비입화하충은 스스로 멸망의 길을 초래하는 것으로 재앙속으로 몸을 던져 가는 것을 뜻한다. 비입화하충 유래 양(梁)의 도개(到漑)는 자(字)를 무관(茂灌)이라하며 근직하고 총명한데다가 학문에 뛰어나 고조(高祖)의 신임이 두터웠다. 그에게 경(鏡)이란 아들이 있었으나 일찍 죽어 손자인 신(藎)이 뒤를 이었는데 역시 총명해서 고조의 사랑을 받았다. 어느날 신(藎)이 고조를 수행 중 경구(京口)의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1. '비육지탄 脾肉之嘆' 뜻, 한자, 유래 그리고 활용 예문 비육지탄 脾肉之嘆은 허벅지에 붙은 살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삼국지에서 유비가 한나라 부흥으라는 뜻을 펼치고 싶었으나 그렇지 못한 방황의 시절 어느날 자신의 허벅지 살을 보고 탄식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비육지탄 脾肉之嘆 뜻, 한자, 유래 그리고 활용 예문 비육지탄 출처 出處 『삼국지 三國志』의 촉지 蜀志 비육지탄 脾肉之嘆 뜻과 한자 髀 : 넓적다리 비, 肉 : 고기 육, 之 : 의 지, 嘆 : 탄식할 탄 허벅지 살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허송세월로 자신의 허벅지에 살찜에 대한 자기 반성의 의미를 담고 있다 비육지탄 脾肉之嘆 유래 건안(建安) 원년(196) 조조(曹操)는 천도(遷都)한 허창(許昌)으로 헌제(獻帝)를 맞이하여 스스로 대장군이라 칭하고 조정의 실권을 장악했다. 그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1. '비방지목 誹謗之木' 뜻, 유래, 출처, 한자 그리고 예문 활용 비방지목의 비방은 우리가 실생활에서 남을 비방하지 말라처럼 흔히 듣는 말로 남을 비방 또는 헐띁는 말을 적는 나무라는 뜻으로 요임금이 정치에 대해 잘못된 점이나 불만이 있을 시 궁궐 다리에 세웠던 기둥에 쓰도록 한 이야기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비방지목 誹謗之木 뜻, 유래, 출처, 한자 그리고 예문 활용 비방지목 출처 出處 『요. 순 시대 전설 傳說』 또는 회남자 비방지목 誹謗之木 뜻과 한자 誹 헐뜯을 비 謗 헐뜯을 방 之 갈 지 木 나무 목 헐뜯는 나무라는 뜻으로 백성들이 불만이나 불편사항이 있는 경우 나무에 자기의 불만을 적는것을 의미 비방지목 誹謗之木 유래 요(堯)·순(舜) 두 임금은 고대 중국인의 소박한 사념(思念) 속에서 태어난 이상적인 성천자(聖天子)다. 물론 그것은 유사(有史) 이래 아주..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1.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과 유래 그리고 활용 사례 붕정만리의 붕은 상상속 엄청나게 큰 새(Bird)로 이런 새가 만리나 날아갈 정의의 길이란 뜻이다. 즉 앞일이 매우 요원하거가나 또는 원대한 꿈을 비유적으로 말할때 사용된다. 그 유래는 장자의 소요유편에서 찾을 수 있다.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소요유편 逍遙遊篇 붕정만리 鵬程萬里 뜻 鵬 붕새 붕 程 한도 정 萬 일 만 만 里 마을 리(이) 상상속 커다란 새인 붕새가 날아갈 길이 만리나 된다는 뜻으로 앞 일이 매우 여원하다는 의미 또는 원대한 꿈과 비전을 갖고 이를 실현해 나간다는 뜻이다. 붕정만리 鵬程萬里 유래 붕(鵬)이란 사전을 보면 상상상(想像上)의 엄청나게 큰 새 이름이라고 씌어 있다. 즉 고대 중국인의 소박한 공상 속 소산이다. 그 붕(鵬)에 관해 기록된 가장 대표적..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0. 불입호혈이면 부득호자라 不入虎穴 不得虎子 뜻과 유래 배우기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호랑이 새끼를 잡을수 없다는 뜻의 성어 불입호혈이면 부득호자라는 역사책 한서(漢書)를 완성시킨 반고, 반소의 형제인 반초의 무용담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불입호혈이면 부득호자라 不入虎穴 不得虎子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후한서 後漢書』 반초전 班超傳 불입호혈이면 부득호자라 不入虎穴 不得虎子 뜻 不 아닐 부 入 들 입 虎 범 호 穴 구멍 혈 不 아닐 부 得 얻을 득 子 아들 자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호랑이 새끼를 잡을수 없다는 뜻으로 큰 성공을 위해서는 큰 위험을 감수해야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불입호혈이면 부득호자라 不入虎穴 不得虎子 유래 중국 최초의 역사책인 『사기(史記)』의 편찬법을 따르고 그것보다 더욱 정밀하며 학자풍 문장이라고 하는 전한(前漢)의 역사책..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0. 불문마 不問馬 뜻과 유래 배우기 말(horse)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는 뜻으로 아무리 소중하고 값이 나가는 것이라도 사람보다 소중한 것은 없다는 뜻을 나타내며 그 유래는 공자 논어의 향단편에서 찾을 수 있다. 불문마 不問馬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논어 論語』 향단편 鄕黨篇 공자(孔子)가 관아에서 돌아와 보니 자기집에 불이 나서 마굿간이 고스란히 타버렸다. 그 소러를 들은 공자는 「말은 무사한가」라고 묻지 않았고 그가 먼저 물은 것은 「누가 다치지는 않았는가」라는 것이었다. 보통사람 같으면 무엇보다도 먼저 「말은 무사하냐」고 했을 것을 역시 성인(聖人)인 만큼 가축은 둘째로 생각하여 문제시하지 않고 인간의 안부를 먼저 걱정했다. 특히「말을 묻지 않았다」는 점으로 보아 공자가 가지고 있던 말은 상당한 일품(逸品)이었을 것이다. 厩焚 子退..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0. 불구대천지수 不俱戴天之讐 뜻과 유래 배우기 영화 범죄도시2에서 강해상(손석구)은 가슴에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란 문신을 새기고 악행을 저지르는 장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불구대천지수는 같은 하늘을 이고 살 수 없을 정도의 원수를 뜻한다. 그 유래는 예기에서 찾을 수 있다. 불구대천지수 不俱戴天之讐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예기 禮記 불구대천지수 不俱戴天之讐 뜻 不(아닐 불) 俱(함께 구) 戴(머리위에 이다 대) 天(하늘 천) 之(갈 지) 讐(원수 수) 같은 하늘 아래 살 수 없을 정도의 깊은 원수를 뜻한다 불구대천지수 不俱戴天之讐 유래 아버지의 원수는 함께 하늘을 같이 할 수 없기에 살려둘 수 없어 반드시 죽여야 한다. 형제의 원수는 집에 가서 무기를 들고 온다는 식의 여유 따위는 없기에 언제나 무기를 휴대하고 있다가 즉시 죽여야 한다. 친구의 원..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