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도연명의 도화원기 속 도원경과 무릉도원 뜻과 유래 배우기 도원경은 동진시대 말기 대표 시인인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표현으로 복숭아 숲이 넓게 펼쳐진 별천지를 의미하며 무릉도원도 같은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 도원경과 무릉도원의 뜻과 유래를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桃源境(도원경) 武陵桃源(무릉도원)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도연명 陶淵明 『도화원기 桃花源記』 桃源境(도원경) 武陵桃源(무릉도원) 뜻 桃 복숭아 도 源 근원 원 境 지경 경 武 호반 무 陵 언덕 릉(능) 桃 복숭아 도 源 근원 원 이 세속 세상이 아닌 별천지를 의미 桃源境(도원경) 武陵桃源(무릉도원) 유래 진(晉)나라 태원(太元 = 효무제 孝武帝)때 무릉(武陵)에 한 어부가 살고 있었다. 그 어부는 어느날 여느 때와 같이 작은 배를 저어 고기를 찾아 산협의 강을 따라 올라갔다. 얼마쯤 배가 올라 갔..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6. 도리불언하자성혜 뜻과 유래 배우기: 이광장군에 대한 설명 도리불언 하자성혜는 복숭아와 자두가 스스로 우리는 맛있다고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찾는 것처럼 뛰어난 인재는 스스로 인재라고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모인다는 의미로 사기를 쓴 사마천이 이광 장군의 위대함을 묘사하면서 쓴 고사성어입니다. 자세한 뜻과 유래를 확인해보세요. 桃李不言下自成蹊 (도리불언하자성혜)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이장군열전 李將軍列傳 도리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下自成蹊) 뜻 桃 복숭아 도 李 오얏 리(이) 不 아닐 부 言 말씀 언 下 아래 하 自 스스로 자 成 이룰 성 蹊 좁은 길 혜 복숭아와 자두는 꽃이 아름답고 열매가 맛있어서 사람들이 스스로 찾아오는 것처럼 덕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 덕이 있다고 말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들이 따르는 것을 비유한 성어 도리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下..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6. 대의멸친大義滅親 뜻과 유래 고사성어 대의멸친은 지금 우리 정치에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한다. 본인이 꿈꾸는 정의의 실현을 위해서는 가족.혈연의 친함도 버린다는 의미의 대의멸친(大義滅親)은 위나라 대부 석작이 주우(州旴) 처단하기 위해 그의 아들 후(厚)의 희생도 감수한 이야기다. 대의멸친大義滅親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 은공 隱公 3.4년 대의멸친大義滅親 뜻 大 클 대 義 옳을 의 滅 꺼질 멸 親 친할 친 큰 의를 위해 사사로운 부모.형제 등 혈육의 친함(정)도 멸(버린다)는 뜻이다. 대의멸친大義滅親 유래 때는 춘추(春秋) 주환왕(周桓王)원년 노은공(魯隱公) 4년(B.C 719년)의 일이다. 위국(衛國)에서는 공자 주우(州旴)가 주군 환공을 죽이고 위에 올랐다. 선군인 장공(莊公)시대부터 그는 환공에 대해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6. 대도폐언유인의 大道廢焉有仁義 뜻과 유래 노자는 "큰 도가 사라지면 인과 의가 생기고, 지혜가 나타나면 큰 거짓이 생기며, 육친이 불화하면 효도와 사랑이 생기고, 국가가 혼란스러우면 충신이 생긴다고 말하였다. 대도페언유인의는 우리가 도라고 정의하는 도는 절대적인 도가 아니다란 뜻이다. 대도폐언유인의 大道廢焉有仁義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노자 老子 제18장 대도(大道)란 노자(老子)가 제1장에서 무릇 이것이 도(道)라고 정의하고 있는 도는 절대적인 영원한 도(道)가 아니다 道可道非常道 라고 하는 상도(常道)를 말한다. 노자(老子)에 의하면 영원한 도는 자연의 원리 내지는 자연 그대로를 이르는 것으로 자연 속에서 하나의 현상에 지나지 않는 인간도 영원한 도에 지배되고 있다. 자연에는 이것이 좋다 또는 이것이 나쁘다 하는 것은 없다. 있는 것이 있는데..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5. 대기만성 大器晚成 뜻과 유래 위나라 최염 장군은 그의 사촌동생 최림(최임)이 젊을 때 명망이 없다고 업신 여겨졌지만 최염만은 최림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대기만성의 사람이라며 아껴주었으며 훗날 최림은 삼공(三公)으로 천자(天子)를 보필하는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고한다. 대기만성 大器晚成 뜻과 유래 출전 出典 『노자 老子』 제41장 대기만성 뜻 大 클 대 器 그릇 기 晩 늦을 만 成 이룰 성 큰 인물은 간단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원래 최고 가치가 있는 그릇은 모든 것의 최후에 완성되는 법이다라는 뜻도 있다 『노자 제41장) 대기만성 유래 「최대(最大)의 사각(四角)은 지나치게 커서 그 몽둥이가 보이지 않을 정도(大方은 구석(隅, 모퉁이 우)이 없어=그러므로 최대)인 것과 같이 최고의 가치가 있는 그릇은 모든 것의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5. 무술 당랑권과 당랑지부螳螂之斧 속 당랑의 뜻 당랑권은 사마귀 모습을 본뜬 무술로 중국 영화에 자주 나온다. 당랑지부의 당랑과 그 당랑권에 나오는 당랑은 모두 사마귀를 뜻하는데 고사성어 당랑지부는 약한자가 자기의 분수나 힘을 생각지 않고 덤비거나 저돌적으로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당랑지부螳螂之斧 뜻과 유래 출처: 出典 『韓詩外傳』 당랑(螳螂 - 사마귀)은 먹이를 잡을 때 앞의 두다리를 머리 위로 처드는 그 모습이 도끼(斧 부)를 휘두르는 것과 같다. 벌레의 세계에서는 그 도끼가 큰 위협이 되겠지만 아무리 사마귀의 기세가 강하더라도 이런 정도의 도끼로서는 커다란 상대에 대해서는 전혀 위력이 없다. 즉 『당랑지부(鏜鄭之斧)』란 약한자가 자기의 분수나 힘을 생각지 않고 덤비거나 저돌적으로 나가는 것을 말한다. 『문선(文選)』에 보면 진림(陳琳 - 三國時代..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5. 단장의 미아리 고개의 단장 斷腸 뜻과 유래 배우기 단장의 미아리고개란 무슨의미일까? 여기서 단장(斷腸)은 창자를 끊다진다는 의미로 아주 슬픈 아픔을 의미한다. 그래서 단장화의 꽃말은 이루어지지 않은 아주 슬픔 사랑을 의미한다. 단장 斷腸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수신후기 搜神後記(중국 문어체 소설집으로 동진의 도연명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괴(神怪), 동식물 등 다양한 이야기와 설화가 실려 있다) 옛날 어느 사냥꾼이 깊은 산 속에서 원숭이 새끼를 잡아가지고 돌아왔다. 그리고 그것을 뜰의 나무에 잡아매 두었다. 그런데 원숭이 어미가 뒤를 쫓아와 손짓을 하며 새끼를 살려달라고 연방 애걸을 한다.그러나 그 사냥꾼은 극히 잔인한 사나이었으므로 어미 원숭이의 간절한 부탁을 들어주지 않고 원숭이 새끼를 죽였다. 어미 원숭이는 슬픈 소리로 울고 있다가 머리..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5. 다다익선 (다다익익변 多多益益辨) 뜻과 유래 배우기 한고조 유방과 한신이 제장의 능력에 대해 이야기 하던 중 한신 본인이 다스릴 수 있는 군대의 수를 설명하면서 다다익익변(많을수록 좋다)이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다다익선 표현으로 더 자주 사용됩니다. 다다익선(다다익익변 多多益益辨)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다다익선(다다익익변 多多益益辨) 뜻 多 많을 다, 益 더학 익(넘칠 익), 辨 분별할 변 다다익선(다다익익변 多多益益辨) 유래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은 숙적인 항우(項羽)를 타도하여 천하를 통일했으나 국가의 기초는 그것만으로 안태(安泰)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고조(高祖)의 밑에서 항우와 싸운 맹장들이 언젠가는 한(漢)에게 위험한 존재가 되기 때문이다. 그들은 모두 고조를 위해서라는 충성보다는 자기의 천하를 꿈꾸고 힘..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4. 다기망양 多岐亡羊 고사성어 뜻과 유래 배우기 다기망양은 많은 갈림길 속에서 이리저리 해매다 결국 양을 잃는다는 표현으로 지금 블로그를 하는 내 마음 상태를 잘 표현하는 듯 하다.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그러다 결국 아무것도 안될것 같은 느낌. 오늘 글을 통해 마음을 잡고 꾸준히 포스팅해보자 多岐亡羊 (다기망양) 뜻과 유래 출전 出典』『열자 列子』 설부편 說符篇·『장자 莊子』 변편 駢拇篇 多岐亡羊 (다기망양) 뜻 多 많을 다 岐 갈림길 기 亡 망할 망 羊 양 양 달아난 양을 찾다가 여러 갈림길로 인해 길을 잃었다는 의미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져 있어 진리를 찾기 어렵거나 방법이 많아 어찌 할 바를 모르게 됨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多岐亡羊 (다기망양) 유래 학문에는 지식의 집적(集積)과 이론(理論)의 분석(分析)이 필요한 것은 말할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4. 낙신부(洛神賦) 凌波 (능파) 뜻과 유래 삼국시대 위(魏) 나라 조조의 아들이었던 조식(曹植)이 지은 낙신부(洛神賦)에 능파미보(凌波微步) 나말생진(羅襪生塵)이란 구가 있는데 이로써 여자의 걸음걸이를 물결 위를 가볍게 걸어 다닌다는 의미의 능파(凌波)라고 했다. 능파 凌波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조식 曹植 「낙신부 洛神賦」 凌 업신여길 릉(능) 波 물결 파 가볍고 아름다운 미인(美人)의 걸음걸이를 의미로 조식(조자건)의 작품인 낙신부에 언급되어 있다. 전라남도 곡성군에 능파리(凌波里)란 마을이 존재한다 중국 고전 문학 낙신부(洛神賦) 분석 낙신부 내용과 배경 황초(黃初) 3년에 조식(조자건)이 입조(入朝)한 후, 봉지(朋友)를 찾아가는 길에 낙수(洛水)를 지날 때 낙신(洛神)의 이야기를 듣고 작품으로 썼습니다. 낙신은 황수(洛水)의 신이자 강가에..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4.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