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고사성어 만가 挽歌 뜻과 유래 알아보기 만가(挽歌)의 뜻은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란 의미이나 그 유래는 한고조 유방과 제왕 전횡 시절까지 올라간다. 한고조 유방을 섬기는 것을 수치스럽게 생각하고 스스로 목을 잘라 죽은 전횡의 절개를 기린 상가를 한 무제 때 이연년이 만가로 만들었다. 만가 挽歌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좌전 左傳』 만가 挽歌 뜻 挽 당길 만 歌 노래 가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란 뜻을 가지고 있다 만가 挽歌 유래 만가(挽歌)는 수레를 끄는 노래다. 그 수레도 보통 수레가 아니고, 영구차(상여)다. 만(挽: 수레끌만·상여꾼 노래만, 輓(끌 만)이 원자이다)은 본디 수레를 앞으로 잡아당긴다는 뜻으로 장례식 때 영구차의 불(紼―관을 끄는 줄)을 잡는 자가 서로 소리를 먹여가며 부르는 노래가 만가(挽歌)다. 만가의 유래는 피비린내..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9. 고사성어 마이동풍 馬耳東風 뜻과 유래 알아보기 이백의 마이동풍 馬耳東風은 사람들이 의견이나 비평, 충고를 전혀 듣지 않는다는 뜻이 있으며 투계(鬪鷄)의 기술에만 능한 사람들이 출세하고 있었던 당시 세태를 비판하면서 한탄스러운 마음을 전달하고 있는 왕거일이란 친구의 시에 대한 회신입니다. 마이동풍의 뜻과 유래를 통해 우리 스스로는 다른 의견도 듣고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기억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마이동풍 馬耳東風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이백 李白「답왕거 答王去」 한야독작유회 一寒夜獨酌有懷」 馬耳東風 (마이동풍) 뜻 馬 말 마 耳 귀 이 東 동녘 동 風 바람 풍 남의 의견이나 비평을 전혀 듣지 않는 것을 비유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牛耳讀經(우이독경) 뜻 牛 소 우 耳 귀 이 讀 읽을 독 經 지날 경 소귀에 경 읽기 또는 쇠귀에 경 읽기라고 흔히 말..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9. 고사성어 "마루摩壘" 뜻과 유래 알아보기 진(晋)과 초(楚)의 필(邲)의 싸움 과정 중 유래한 표현이 마루(摩壘)로 적의 성루를 만질 수 있을 정도로 용맹하게 공격해 가는 것을 의미했으나 의미가 호각(互角)의 역량(力量)으로 육박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마루 摩壘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좌전 左傳』 선공20년 宣公十二 마루 摩壘 뜻 摩 문지를 마 壘 보루 루 적의 성루를 만질(rub) 정도로 가까이 쳐들어간다는 의미로 이후 기량이 상대방과 거의 동등하게 됨을 의미 마루 摩壘 유래 진(晋)과 초(楚)의 대립은 춘추의 천하를 뿌리채 흔드는 것 같은 전쟁을 몇 차례나 일으켰으니 필(邲)의 싸움도 그 하나였다. 일의 시초는 정(鄭)나라였다. 당시 중원의 약국(弱國)이었던 정(鄭)은 남북으로 동시에 위협을 받아 어느 때는 진(晉)에 붙고 어느 때는 초(..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고사성어 등용문(登龍門)'과 '점액(點額)': 뜻과 유래 알아보기 '용문'은 물의 흐름이 강하여 대어도 타고 넘기 어려운 협곡으로, 그러나 한 번 이 급류를 타고 넘으면 곧 용으로 변한다는 전승이 있습니다. 따라서 등용문은 용으로 변할 수 있는 관문에 오른다는 의미로, 출세의 기회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높은 장벽을 넘어서 출세하는 과정은 어렵고 힘든 일이지만, 한 번 출세의 등용문을 통과하면 뜻밖의 성공과 변화를 이룰 수 있음을 상기시킵니다. 등용문 登龍門 점액 點額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후한서 後漢書』 이응전 李膺傳 登龍門(등용문) (點額) 점액 뜻 登 오를 등 龍 용 룡(용) 門 문 문 용으로 변하는 관문에 오른다는 의미로 크게 출세한 것을 의미하며 등룡문은 등용문의 잘못된 표현이다. 點 점 점 額 이마 액 등용문의 반대어로 등용문에 오르다 실패해 이마에 상처를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득어망전(得魚忘筌): 뜻과 유래 알아보기 "득어망전, 교토사주구, 과하절교 모두 목적을 달성하고 쓰임이 다하면 버려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득어망전은 물고기를 잡은 후에 사용하던 통발을 잊는다는 의미로 장자의 저서인 '외물편(外物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러한 고사성어들은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전달합니다. 성취와 목표 달성은 인생의 일부이지만, 달성 후에도 겸손하고 간소하게 남아있는 덕목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오래 지속되는 것은 쓸모가 없어지고 버려질 수 있음을 상기시켜주는 길잡이가 되어주는 것입니다. 득어망전 得魚忘筌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장자 莊子』 외물편 外物篇 득어망전 得魚忘筌 뜻 得 얻을 득 魚 물고기 어 忘 잊을 망 筌 통발 전 고기가 잡히면 그 때문에 쓰던 통발(縮)을 잊어 버린다는 것이 이 말의 뜻이다. 목적..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광무제의 마음을 담은 '득롱망촉(得隴望蜀)': 뜻과 유래 알아보기 광무제가 농 나라(지역)을 얻은 후 촉 나라(지역)을 얻어야겠다며 인생에는 만족함이 없다고 말한 것처럼, '득롱망촉(得隴望蜀)'은 우리 인간의 무한한 욕심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고사성어입니다. 득롱망촉은 광무제가 추구하는 것과 같이 인간은 한 가지를 얻고 나서도 계속해서 더욱 더욱 높은 욕심을 가지게 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이러한 욕심은 만족함이 없는 인간의 본성을 보여주며, 욕심을 이기지 못하면 끝없는 욕망에 사로잡히게 된다는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 인간 모두가 가끔씩 이러한 득롱망촉의 감정을 느끼는 법이지만, 현명하게 욕심을 조절하고 만족할 줄 아는 인생을 살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더욱 행복하고 균형잡힌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득롱망촉 得隴望蜀 뜻과 유래 출전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이극용의 다른 호칭 '독안룡(獨眼龍)': 뜻과 유래 알아보기 당나라 맹장인 이극용은 청년 시절부터 놀라운 용기와 뛰어난 전투력으로 군중들 사이에서 이아아(李鵶兒)로 불렸습니다. 특히, 그의 한눈은 마치 애꾸였으므로 그가 귀하게 되자 사람들은 그를 독안룡이라 호칭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독안룡의 뜻과 유래를 이번 기회에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독안룡 獨眼龍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오대사 五代史』 당기 唐記 독안룡 獨眼龍 뜻 獨 홀로 독 眼 눈 안 龍 용 룡(용) 애꾸눈의 용이란 뜻으로 당나라 맹장 이극용이 한쪽 눈의 애꾸였기 때문에 독안룡이라 불려졌다고 한다. 독안룡 獨眼龍 유래 중국 당(唐)나라 17대 황제 의종(懿宗) 말년(873년) 산동(山東)·하남 지방은 대홍수를 만났으나 이듬해인 18대 황제 희종(僖宗)의 건부원년(乾符元年)에는 같은 이 지방이 전년과는 딴..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고사성어 도탄지고 塗炭之苦 뜻과 유래 배우기 서경에서 처음 보인 도탄(塗炭)은 진흙탕과 숮불을 뜻합니다. 도탄지고(塗炭之苦)는 이 글자 그대로, 진흙탕과 숮불에 빠진 듯한 비참한 고통을 의미합니다. 정치적 이유로 백성들이 겪는 이 고통은 마치 온 몸을 진흙과 불에 침범당하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역사 속에서는 많은 왕조의 억압으로 인해 백성들이 도탄지고를 경험했으며 현대에서도 정치적인 갈등으로 인한 국민들의 고통이 여전히 존재하기에 그 결과 백성들은 무지와 빈곤 속에서 도탄지고에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도탄지고 塗炭之苦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서경 書經』 중괴지조 仲瑰之造 도탄지고 塗炭之苦 뜻 塗 진흙탕 도 炭 숯불 탄 之 갈 지 苦 쓸 고 진흙탕이나 숯불에 떨어진 것과 같은 고통이라는 의미로 가혹한 정치로 말미암아 백성이 심한 고통을 겪는 것.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8. 현학적 삶을 경계하는 도청도설 道聽塗說 뜻과 유래 배우기 인간은 누구나 어느정도 현학적, 즉 아느척을 하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인듯 하다. 道聽塗說 (도청도설) 은 자기가 스스로 학습해서 알게된 것이 아닌 길거리에서 주워들은 말을 가지고 다른 사람에게 아는척할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괜히 어설프게 아는척하다 곤란에 빠지지 않도록 도청도설의 뜻과 유래를 확인해보세요. 도청도설 道聽塗說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서 漢書』 예문지 藝文志 『논어 論語』 양화편 陽貨篇 도청도설 道聽塗說 뜻 道 길 도 聽 들을 청 塗 칠할 도 說 말씀 설 길거리에서 들은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말한다는 의미로 남에게 들은 내용으로 아는체 하거나 깊은 생각없이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청도설 道聽塗說 유래 도(道)에서 듣고 도(塗)에서 설(說)하는 것은 덕(德)을 버리는 것이다(道聽而塗說德之..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7. 범려의 도주의돈지부(陶朱猗頓之富) 뜻과 유래 부우기 현재의 노블리스오블리제를 실천한 인물이 이름을 하도 많이 바꾼 범려(또는 치이자피 또는 도주공)이 아닌가한다? 수많은 부를 쌓고 아낌없이 나눔을 실천한 인물. 陶朱猗頓之富 (도주의돈지부)는 도주(공)와 또다른 부자 의돈과 같은 큰 부를 의미한다. 부자가 꿈이시라면 도주의돈지부의 뜻과 재미난 유래를 확인해보세요! 陶朱猗頓之富 (도주의돈지부) = 陶猗(도의)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사기 史記』 화식전 貨殖傳 陶朱猗頓之富 (도주의돈지부) = 陶猗(도의) 뜻 陶 질그릇 도 朱 붉을 주 猗 불깐 개 의 頓 조아릴 돈 之 갈 지 富 부유할 부 도주는 사람이름으로 월나라 명신 범려를 말한다 의돈도 사람이름으로 노나라 부자였다 즉 도주와 의돈같이 아주 큰 부를 이룩한 것을 의미 陶朱猗頓之富 (도주의돈지부) = 陶猗(도..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7.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