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고사성어 공자문전매효경: 반문농부와 유사한 의미로 전문가 앞에서 재능을 자랑하는 사람 고사성어 공자문전매효경(孔子門前賣孝經)은 공자의 집앞에서 효경(공자가 그의 제자 증삼(曾參:曾子)에게 효도를 기술한 경서)을 판다는 뜻으로, 전문가 앞에서 자신의 재능을 자랑하는 사람을 두고 비웃는 비유적 표현으로 반문농부도 비슷한 뜻 입니다. 공자문전매효경 孔子門前賣孝經 출전: 묵자 墨子公輸篇 효경(孝經)이 어떤 책인지 들어 아는 사람에게는 아마런 설명도 불필요한 성어(成語)다. 효(孝)를 설명한 경전(經典)이라고 이름 지어진 이 책은 공자와 그 제자인 증자가 문답하는형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저자(著者)도 공자(또는 증자)라고 되어 있으나 사실은 전 4세기~ 전 2세기 초 (전국시대 ~ 전한 초)에 걸쳐 유교학자들이 점차 완성시켰다는 것이 진실인 것 같다. 효(孝)란 부모를 물심 양면으로 경애(敬愛)할뿐..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1. 사자성어 곡학아세: 사기 유림열전에 나오는 유래와 뜻 곡학아세(曲學阿世)는 학문을 굽혀 세상에 아첨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뜻을 굽혀가면서까지 세상에 아부하여 출세하려는 태도나 행동을 의미하는 말로 사기(史記) 유림열전(儒林列傳)에서 원고생(轅固生)이 공손홍(公孫弘)에게 충고한 말에서 유래했다. 곡학아세 (曲學阿世) 유래와 뜻 出典(출전) 史記 儒林傳(사기 유림전) 전한(前漢) 제5대의 한무제(武帝)는 즉위와 동시 천하의 현량(賢良)한 선비(士)를 구해 우선 시인(詩人)으로써 이름 높았던 원고생(被固生)을 불렀다. 고생(固生)은 산동 태생으로 당시 70세였었으나, 황제의 부름에 감격해서「젊은이들에게 지지 않는다」고 백발을 휘날리며 나섰다. 그런데 이 강직하기 짝이 없는 노인이 나타나게 되면 맥을 출 수 없게 될 엉터리 학자들, 어떻게든 황제의 뜻을 되돌려 보..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0. 고사성어 古稀(고희): 두보의 곡강시 인생칠십고래회에서 유래 고희(古稀)는 일흔 살을 가리키는 말로 이 말은 중국 시인 두보(杜甫)의 시 '곡강시(曲江詩)'에 나오는 人生七十古來稀(인생칠십고래회)표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옛날에는 일흔 살까지 산다는 것은 무척 드문 일이었습니다. 지금은 평균 연령이 80이 넘지요! 고희 (古稀) 출전: 두보의 곡강이수기이 曲江二首其二 당(唐)나라의 수도 장안(長安). 그 동남쪽 끝에 곡강(曲江)이란 연못이 있었다. 연못 남쪽에는 부용원(芙蓉苑)이란 궁원(宮苑)도 있어 경치가 아름다워 봄에는 꽃을 관상하는 장안 시민들로 붐비었다. 이 곡강 변에서 두보(杜甫)가 몇수의 시(詩)를 남기고 있다. 그것은 건원 원년 (乾元元年) 두보 47세 때의 일이다. 두보는 이 무렵 좌습유(左拾遺)의 벼슬을 얻어서 궁중(宮中)에서 일하고 있었다. 그런데..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9. 고사성어 고침안면: 춘추전국시대 합종연횡의 주인공 장의 이야기 고침안면 (高枕安眠)은 베개를 높이 하여 편히 잘 잔다는 의미로 아무 근심 없이 평안한 상태를 의미하는 고사성어로 춘추전국시대 합종연횡의 주인공 중 한 명인 장의(張儀)가 위애왕(魏哀王)을 설득한 이야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자세한 뜻과 유래는 아래 글에서 확인해 보세요! 고침안면 (高枕安眠) ▶출전: 『사기 史記』·『전국책 戰國策』 전국(戰國)의 중엽(中葉)인 주연왕(周燕王) 315년(B.C 334)부터 난왕(想王) 6년(BC 309)까지는 소진(蘇秦)과 장의(張儀)가활약한 시대다. 그들은 전국의 칠웅(七雄)을 화려한 무대로 보고 종횡가(從橫家)답게 종횡으로뛰어다녔다. 사마천(司馬遷)이 이 두 사람을「위험한 선비」라고 평한 것도 적평(適評)이었다. 소진은「합종(合從)」을 외치며 진 이외의 각국이 동맹하여..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9. 고사성어 고복격양: 십팔사기 요 임금 이야기 중 고복격양 (鼓腹擊壤)은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며 흥겹게 노래한다’는 의미로 매우 살기 좋은 세상이나어진 임금을 칭송할 때를 비유로 사용되는 고사성어로 십팔사기에 나오는 요 임금의 이야기이다. 자세한 유래와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고복격양 (鼓腹擊壤) ▶출전: 십팔사기 十八史略 그 옛날 성천자(聖天子)로서 이름이 높은 제요(帝堯)때의 이야기다. 요(堯)는 천자로 즉위한 후 계속 마음을 경천애인(敬天愛人)의 정치에 힘써 천하 사람들에게서 사모의 정을 두텁게받고 있었다. 그후 태평무사한 나날이 쌓이고쌓여 어느 듯 50년이 지났다。너무나도 평화스러움에 요(堯)의 마음에는 도리어 일말의 불안이 깃들었다. 「도대체 천하는 지금 진정으로 잘 다스려지고 있는 것일까? 백성들은 나를 천자로 받드는것을 진정으로 원하고 있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9. 고사성어 계포일낙 (季布一諾)의 뜻과 유래 재대로 이해하기 계포일낙 (季布一諾)이란 고사성어는 중국 초나라의 장수인 계포(季布)가 한 번 한 약속은 반드시 지키는 사람이라는 뜻 입니다. 계포는 의협심이 강하고 약속을 잘 지키기로 유명한 사람으로 그 일이 어떤 일이든 한 번 약속을 하면 반드시 지키는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약속을 잘 지키는 사람의 믿음직한 모습을 칭찬하거나, 약속을 지킬 것을 확약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계포일낙이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季布一諾(계포일낙)의 뜻과 유래 출처 『史記』季布傳 초(楚)나라 사람인 포는 젊었을 적부터 협기(俠氣)있는 사람으로 알려져「좋다(諾)」하고 한 번 말을 한 이상은 그 약속을 반드시 지켰다. 서초(西楚)의 패왕 항우(項羽)가 한(漢)나라의 유방(劉邦)과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8. 고사성어 계명구도(鷄鳴狗盜) 유래와 뜻 공부하기 오늘 배워볼 고사성어 계명구도는 닭 울음소리를 잘내고 개 흉내를 잘 내는 사람이란 뜻으로 즉 천한 사람, 하찮은 재주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부르는 표현으로 사기 맹상군(성은 전, 이름은 문)전에 나오는 표현입니다. 자세한 유래와 뜻은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계명구도(鷄鳴狗盜) 유래와 뜻 出典』『史記』孟嘗君傳 맹상군(孟嘗君)의 성은 전(田) 이름은 문(文)이고 그 아버지는 설(薛)이란 나라의 영주(領主)인 전영(田嬰)이다. 전영은 제(齊)나라 위왕(威王)의 막내 아들로서 선왕(宣王)의 서제(庶弟)였다. 전영에게는 40명의 아들이 있었다. 전문(田文)은 그 중에서도 신분이 천한 첩의 아들이었다. 5월 5일에 출생했기 때문에 전영은「길러서는 안 된다. 곧 내다 버리라」고 그 첩에게 명했다. 그러나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8. 사자성어 고사성어 배우기: 계두지육(鷄頭之肉), 계륵(鷄助) 오늘 배울 고사성어는 양귀비 가슴의 중요 부분을 지칭하는 계두지육(鷄頭之肉)과 삼국지 주인공 중 1명인 조조가 그리 도움도 되지 못하나 막상 버리기는 아까운 사물로 비유한 계륵(鷄助)입니다. 계두지육과 계륵의 자세한 유래와 속뜻은 아래 글에서 확인해보세요. 계두지육 (鷄頭之肉) 出典』『天寶遺事』 양귀비(楊貴妃)가 화청궁(華淸宮) 온천에서 목욕을 한 다음화장을 하면서 양쪽 가슴을 내놓고 있는 것을 명황(明皇)이 보고 『연온신박계두지육(軟溫新剝鷄頭之肉)이라고 말한 것이 『천보유사(天寶遺事)』 에 나와 있다. 계두(鷄頭)란 검(芡……마름검가시연밥)의 열매로 가슴의 중요 부분이(乳頭) 검(芡)의 열매를 까 놓은 것 같다고 말한 것이다. 계륵 (鷄助) 出典』『後漢書』楊修傳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로서 유명한 삼..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6. 고사성어 배우기: 鷄群一鶴 (계군일학)= 群鷄一鶴(군계일학) 사자성어 계군일학(군계일학)은 「학립계군(鶴立鷄群)」과 같은 뜻으로 사람들 중에서 보다 뛰어나 사람, 즉 많은 범인(凡人)속에 한 사람의 뛰어난 인물이 섞여 있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죽립칠현 중 한 사람인 혜강의 아들 혜소를 일컫는 사장성이 입니다. 계군일학 고사성어의 자세한 유례와 뜻을 확인해보세요! 鷄群一鶴 (계군일학)=群鷄一鶴 出典』 『晋書』和紹傳 혜소(嵇紹)의 자(字)는 연조(延祖)라 하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서 유명한 위(魏)의 중산대부(中散大夫) 혜강(嵇康)의 아들이다. 소(紹)는 10살 때 아버지가 무고한 죄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이래, 어머니를 모시고 근신하고 있었으나 망부(亡父)의 친우(친한 친구)이며 칠현(七賢)의 한 사람인 산도(山濤) (嵇康은 소(紹)에게 산도(山濤) 아저씨가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5. 고사성어 배우기: 경국지색 傾國之色 오늘 배우는 고사성어인 경국지색은 중국 한나라 한무제 때 이연년이 부른 노래에 나오는 표현으로 나라를 위태롭게할 정도로 미인을 의미합니다. 자세한 의미와 유래를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傾國 (경국)=傾國之色(경국지색) ▶出典▲ 漢武帝때 歌手 李延年이 부른 노래에서 한무제(漢武帝)를 모시고 있는 가수(歌手) 중에 이연년(李延年)이란 자가 있었다. 음악적 재능이 풍부하고, 노래와 춤도 유명하며 신곡(新曲)을 짓거나 편곡을 할 때마다 사람들을 감동시켰으므로 무제의 총애를 한몸에 받고 있었다. 어느 날 그는 황제 앞에서 춤을 추며 노래 했다. 북방(北方)에 가인(佳人)있어 절세(絶世)로 단 한사람 뿐 일고(一顧)하면 성을 기울게 하고(傾城) 재고(再顧)하면 나라를 기울게 했다(傾國) 어찌 경성 경국을 모르겠느..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 이전 1 ··· 17 18 19 20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