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남가일몽 南柯一夢 고사성어 뜻과 유래 완전 정복 고사성어 남가일몽은 남쪽으로 뻗은 큰 가지(柯) 아래에서 꾼 꿈이란 뜻으로 그것이 널리 꿈의 대명사로 쓰이게 된 것은 이공좌가 쓴 남가기에 나오는 순우분이라는 주인공인 꾼 꿈 이야기에서 유래하고 있다. 자세한 뜻과 유래를 확인해보세요. 남가일몽 南柯一夢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이공좌 李公佐』 남가기 南柯記 당(唐)나라 제9대 덕종(德宗, 785~804)때의 일이라고 한다. 양자강 하류, 광릉군(강소성)에 순우분(淳于禁)이라는 사나이가 살고 있었다. 그는 원래 협객(俠客)으로 이름을 날려 많은 부하를 거느리고 이 지방의 장군의 부관노릇을 한 적도 있었으나 술을 좋아하고 웬만한 일에는 신경을 쓰지 않는 성질이라 결국 장군하고 충돌한 끝에 낙향을 해버린 것이었다. 그 저택 남쪽에 아주 큰 느티나무가 있어 널찍..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0. 기화가서 奇貨可居 뜻과 유래 완전 정복 기화가서(奇貨可居)는 奇 기특할 기 貨 재물 화 可 옳을 가 居 살 거로 귀중한 물건은 사서 잘 보관하고 있으면 나중에 이득을 본다는 뜻으로 여불위가 장차 진시황의 아버지가 되는 진(秦)의 태자 안국군의 서자인 자초(子楚)에게 투자한 내용을 말한다. 기화가서 奇貨可居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사기 史記』 여불위열전 呂不韋列傳 때는 전국시대 말기다. 조(趙)의 수도 한단(邯驛)은 나라의 쇠퇴도 아랑곳 없이 중원 문화의 정수를 모아 상업이 번창하고 왕래하는 제국(諸國) 사람들도 많았다. 한(韓)의 수도 양적(陽翟)의 거상(巨商)인 여불위(呂不韋)는 상업상으로 한단(邯鄲)에 자주 드나들었는데 우연히 진(秦)의 태자(太子) 안국군(安國君)의 서자인 자초(子楚)가 인질로 이 곳에 와서 살고 있다는것을 알았다..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9. 기호지세부득하호 뜻과 유래 완전 정복 기호지세부득하호(騎虎之勢不得下虎 )는 수나라를 창업한 수문제(양건)의 부인인 선비족 출신 독고황후가 남편에게 하루 천리를 달리는 호랑이를 탄 이상 도중에서 내릴 수는 없읍니다 라고 말했다는 기록이 수서 독고황후전에 기록되어 있다. 기호지세 騎虎之勢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수서 隋書』 독고황후전 獨孤皇后傳 위(魏) 촉(蜀) 오(吳)의 소위 삼국 대립은 위(魏)의 승리로 끝나고, 위(魏)는 국호를 진(晉-西晉)이라 고치고서 천하를 통치했으나 새외 민족(塞外民族)의 침입으로 불과 50년으로 망하고, 새로히 남방 양자강 지대에 진(晉-東晉)이 전의 오(吳)의 도읍지었던 건업(建業-南京)을 도읍으로 정했다. 서진(西晉)의 옛 땅은 흉노(匈奴), 갈(鞨), 선비(鮮卑), 저(氏), 강(羌)의 다섯 이민족 즉..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9. 杞憂 (기우)=杞人憂天(기인우천) 뜻과 유래 완전정복 기우 또는 기인우천은 열자의 천서편에 나오는 고사성어로 이것 저것 쓸데 없는 걱정을 한다든가 까닭 없는 걱정을 하는 것을 비유할 때 사용한다. 기우 杞憂 = 기인우천 杞人憂天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열자 列子』 천서편 天瑞篇 기국(杞國—周時代에 있었던 나라)에 어떤 사나이가 있었다. 그 사나이는 만약 천지가 붕괴한다면 몸 둘 곳이 없어진다고 그것만이 걱정이 되어 밤에도 잠을 이루지 못하고 밥도 목을 넘어가지 않았다. 한편 그 사나이가 걱정하고 있는 꼴을 또 걱정하는 자가 있었다. 그래서 찾아가서 설명을 했다. 하늘은 공기가 쌓인 것 뿐이다. 공기가 없는 곳이란 있을 수 없지. 몸을 구부렸다 폈다 하는것도 언제나 하늘 속에서 하고 있는 것이므로 하늘이 무너진다는 걱정은 할 필요가 없네 하늘이 정말 공기가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9. 기소불욕물시어인 뜻과 유래 완전 정복 "기서호 기소불욕 물시어인"은 "그것은 사정을 알아주는 것이리라. 자기가 바라지 않는 일은 남에게 하지 말라"는 공자의 말로 공자가 제가 자공에게 한 말로 논어 위령공편에 나오는 고사성어로 지금까지도 많이 사용되는 명언입니다. 기소불욕물시어인 己所不欲勿施於人 뜻과 유래 출전 出典』『논어 論語』 위령공편 衛靈公篇 숙손무숙(叔孫武叔) 이라는 노(魯)나라 대부(大夫)가 「자공(子貢)은 중니(仲尼)보다도 현인(賢人)이다」(『논어 論語』 자장편子張篇)라고 평하고 있듯 자공(子貢)은 세속적인 지혜와 재각(才覺)으로는 남보다 뛰어난 인물 있었다. 그런데 세속적인 지혜나 재각은 인간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므로 당연히「자기」와「남」이란 상대적인 입장에 자신을 두고 있으므로 그런「인간」 상대의 세계에서 살고 있으면 뛰..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9. 긍경 肯路 뜻과 유래 완전정복 오늘늘 배울 고사성어 긍경(肯綮)의 ‘긍(肯)’은 뼈에 붙은 살이고 ‘경(綮)’은 뼈와 살이 이어진다는 의미로 사물(일)의 핵심이되는 부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포정이라는 유명한 요리사가 소를 잡아 살을 도려낼 때 긍경을 건드리지 않고 도려냈다고 한 데서 유래합니다. 긍경 肯路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장자 莊子』 양생주편 養生主篇 전국 시대의 이야기다。양(梁)의 문혜군(文惠君-惠王)의 집에 포정(胞丁) 즉 정(丁)이라는 요리사(胞)가 있었다. 그는 소를 잡아 다루는 솜씨가 아주 능란해서 소의 몸에 왼손을 가볍게 댄 후 왼쪽 어깨를 슬며시 갖다 댄다. 그 손을 대고 어깨를 대며 또 한 다리를 버티고 섰는 품, 무릎을 굽힌 품에 이르기까지 아주 훌륭하기 짝이 없는 데다가 칼을 움직이기 시작하면 뼈..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8. 고사성어 군자표변 君子豹變 뜻과 유래 완전정복 오늘 배울 고사성어는 역경에 나오는 군자표변으로 군자가 잘못을 깨닫고 올바르게 고쳐 행동함이 빠르다는 뜻으로 사용되나 요즘은 표변을 ‘지금까지의 방식이나 태도를 단숨에 바꾸다’ 또는 ‘태도가 돌변(突變)하다’는 뜻으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군자표변 君子豹變 뜻과 유래 출전 出典』『역경 易經』 군자는 자기를 고치는 것이 빨라 그 결과는 표범의 얼룩점이 뚜렷하듯 외면으로도 확실하게 나타난다. 소인은 군자만큼 뚜렷하게 자기를 고칠 수는 없으나 안색을 바꿀 정도의 자기변혁(自己變革)은 가능하다. 그 이상의 변혁을 바라는 것은 좋지 않고 그저 올바름을 지키고 있으면 된다 (君子豹變、小人革面 征凶 居貞吉) 라는 뜻이다. 이 해석이 일반적이다. 현재는 요령이 좋은 처세술 등을 말할 때 주로 쓰이고 있다. 즉 표..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8. 고사성어 금의야행 錦衣夜行 뜻과 유래 완전정복 금의야행, 즉 비단옷을 입고 밤에 간다는 고사성어는 항우가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표현한 말에서 유래했다. 항우는 부귀를 이루고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 것은 비단 옷을 입고 밤에 걷는 것과 같아 누가 알겠냐고 반문했다. 錦衣夜行 (금의야행)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삼국지 위지 三國誌 魏志 유명한 홍문연(鴻門宴)이 있은지 수일 후의 일이다. 유방(劉邦)과 진도(秦都) 함양(咸陽)입성을 다투다가 드디어 목적을 이룬 항우가 싱글벌글 함양으로 입성 후 유방과는 대조적인 성격임이 잘 나타났다. 우선 유방이 살려준 진왕의 아들 영(嬰)을 죽여버렸다. 그리고 진의 궁전을 불태워 버렸다. 3개월 간 불탔다고 하는 그 불을 안주삼아 그는 미녀(美女)를 끼고 놀며 전승을 축하했..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7. 금옥(金屋) 뜻과 유래 오늘은 한무제가 언급했다고 알려진 금옥(金屋)의 뜻과 유래 및 한무제의 황후가 된 진황후(효무진황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옥(金屋)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요재지이 聊齋志異 한 무제(漢武帝)가 어렸을 때다. 경제(景帝, 무제의 아버지)가 너 장가 들고 싶지 않는냐고 묻자 무제가 들고 싶다고 하자 경제의 누이(장공주, 즉 무제의 고)가 자기 딸인 아교(阿矯, 진황후)를 가리키며 이 애는 어떠냐고 물었다. 무제는 아교와 결혼을 하면 금옥(金屋)에 모셔 두겠다고 대답 했다는 고사(故事)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살게 하는 훌륭한 집을 금옥(金屋)이라고 한다. 2023.07.16 - [중국고전배우기] - 금슬상화 (琴瑟相和) 뜻과 유래 완전 정복: 금슬 금술? 금슬상화 (琴瑟相和) 뜻과 유래 완전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7. 금슬상화 (琴瑟相和) 뜻과 유래 완전 정복: 금슬 금술? 고사성어 금슬상화의 금(琴)은 거문고, 슬(瑟)은 비파를 말하는데 이 둘을 탈 때 그 음률이 잘 어울려 양자의 울림이 서로 화합해서 즐거운 분위기를 자아내듯 부부가 의좋음을 말하는 것으로 시경 상체편에 나온다. 금술로 잘못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슬상화 (琴瑟相和)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시경 詩經』 소아 小雅 상체편 常棣篇 『시경(詩經)』의 「소아(小雅)」상체편(常棣篇)에 「처자(妻子)의 의좋은 화합(和合)이 금슬(琴瑟)을 뜯는 것 같다〈妻子好合 如鼓琴瑟〉」라는 것이 있다. 곧 금(琴)은 거문고, 슬(瑟)은 비파 이 둘을 탈 때 그 음률이 잘 어울려 양자의 울림이 서로 화합해서 즐거운 분위기를 자아내듯 부부가 의좋음을 말하는 것이다. 또 『시경(詩經)』의 「주남(周南)」 「관저편(關雅篇)」에..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16.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