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능서불택필 能書不擇筆 뜻과 유래 고사성어 능서불택필은 글씨를 잘 쓰는 사람는 붓이 좋고 나쁨을 가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일에 능한 사람은 도구나 연장를 탓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요즘처럼 변명이 많은 세태에 잘 어울리는 성어라고 할 수 있다. 능서불택필 能書不擇筆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주현종 周顯宗의『논서 論書』 능서불택필 뜻 能 능할 능 書 글 서 不 아닐 부 擇 가릴 택 筆 붓 필 글씨를 잘 쓰는 자는 붓이 좋고 나쁨을 가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일에 능한 사람은 도구나 연장를 탓하지 않는다는 뜻 능서불택필 유래 수(隋)의 뒤를 이은 당(唐)은 중국의 남북문화를 융합했을 뿐 아니라, 사위(四圍)의 민족이나 서역 인도 로마에 이르기까지의 문화를 흡수해서 종합적인 문화를 완성시킨다. 중국 사상(史上)에서도 가장 현란호화스런 시대의 하나였..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4. 과하지욕: 홍준표 시장이 한신의 마음인가? 과하지욕(跨下之辱)은 한서(漢書)의 한신전(韓信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현재의 작은 창피함과 어려움을 감내하며 큰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사람들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최근 홍준표대구시장이 과하지욕이란 표현을 사용하면서 많이 회자되고 있다 한(漢)나라의 명장 한신(韓信)에 관한 이야기 한신은 회음(淮陰)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집이 가난하여 계집질을 하지 못했으며, 또한 벼슬자리에 뽑히지 못하고 상인이 되어 돈을 벌지 못한 채 남의 은혜를 받아 생계를 이어왔습니다. 그는 하향(下鄉) 남창(南昌)의 정장(亭長)에게 의지하여 먹었던 적도 있었는데 정장의 아내는 한신을 마음에 들지 않아서 새벽부터 준비하여 아침 식사를 일찍 마치거나 한신의 식사를 차려두지 않았다고 합니다. 한신은 그녀의 뜻을 이해하고 자발..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3. 뇌란물계리 賴亂勿計利 뜻과 유래 배우기 뇌란물계리는 어려울 때 자기의 이익만을 계산만 하면 결국 자기에게 화가 온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 고사성어는 춘추 선공편에 소개되고 있는데 주 나라때 사관인 사일(史佚)이란 자가 말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뇌란물계리 賴亂勿計利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춘추 春秋』 정周의 사공 史供(선공편 宣公篇) 뇌란물계리 賴亂勿計利 뜻 賴 의뢰할 뇌 亂 어지러울 란 勿 말(아니다) 計 셀 계 利 이로울 리 뇌란물계리 賴亂勿計利 유래 선공(宣公) 12년 봄 초자(楚子)는 정(鄭)을 포위하고 공격한지 17일이 되었다. 정에서는 화평을 청하는 것이 어떤가 점쳐 보았더니 불길하였다. 그래서 조묘(祖廟)에 국가 멸망에 대한 곡별례(哭別禮)을 행하고, 도읍 광장에 전차(戰車)를 벌려 놓으면 (최후의 일전에 대비하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3. 국정농단 사법농단의 농단 壟斷 뜻과 유래 배우기 국정농단, 사법농단처럼 최근 많이 사용되는 농단(壟斷)이란 단어는 원래는 우뚝솟은 언덕을 의미했으나 바뀌어서『혼자독차지』란 뜻에도 쓰이게되었다. 이 단어는 맹자의 진심편에 나오는 성어다. 농단 壟斷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맹자 孟子』 진심편하 盡心篇下 농단 壟斷 뜻 壟 밭두둑 롱(농) 斷 끊을 단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이나 이익(利益)을 독점(獨占)함을 뜻한다 즉 국정농단은 국정을 혼자 독차지하다는 의미이고 사법농단은 사법을 혼자 독차지한다는 뜻이다. 맨 처음 한자를 찾기전에는 농단에서 농이 우롱한다는 의미가 있는 줄 알았으나 우롱(愚 어리석을 우 弄 희롱할 롱(농))과는 한자가 다릅니다. 농단 壟斷 유래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 온 세상이 평화롭고 사람들은 다 순박하기 짝이 없을 때의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3. 녹림 綠林이 도적이란 뜻을 가지게 된 유래 배우기 녹림하면 푸르르 숲이 생각나시나요? 그런데 녹림에는 도둑이란 뜻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한말 시대로 왕망이 신(新)이라는 나라를 세우면서 백성들이 삶이 피폐해지는데 이때 녹림산에서 웅거산 도적들이 스스로를 녹림병으로 칭하게 됩니다. 녹림 綠林 과 녹림병의 뜻과 유래 배우기 出典◀『漢書』王葬傳·『後漢書』劉玄傳 녹림( 綠林)의 뜻 녹림은 푸른 숲이란 의미이지만 도적의 소굴이한 뜻도 있다 綠 푸를 록(녹) 林 수풀 림(임) 녹림( 綠林)의 유래 전한말(前漢末) 대사마 왕망(王葬)이 마침내 왕위를 빼앗아 천자가 된후 국호를 신(新)이라고 고치고 나서 새로운 정책이 눈코 뜰새없이 쏟아져 나왔다. 관직도 바뀌고 지명도 바뀌었으며 토지의 겸병(兼併, 둘이상을 합쳐서 소유)을 없애고 노비를 해방한다고 하며 「왕전제도(..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2. 노즉기린불여노마 老即麒麟不如駑馬 고사성어 뜻과 유래 노즉기린불여노마는 하루에 천리를 가는 명마도 기력이 다하면 노마(둔한 말)보다 못하다는 뜻으로 영웅 또는 강대국도 힘이 약해지는 순간이 있기에 때에 맞추어 하늘의 힘을 빌려야 하는 중요성을 설파한 유세가 소진의 말을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노즉기린불여노마 老即麒麟不如駑馬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전국책 戰國策』 齊下·閔王下 노즉기린불여노마 뜻 老 늙을 노, 即 곧 즉, 麒기린 기, 麟기린 린, 不如 같지않다, 駑 둔할 노, 馬 말 마 노즉기린불여노마 유래 노기린불여노마에서 기린은 우리가 동물원에서 보는 진짜 기린(giraffe)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성인(聖人)이 나타나 왕도(王道)가 행해지면 나타난다는 서수(瑞獸)인 기린(麒麟)도 아니다. 하루에 천리를 가는 명마(名馬)로 기(麒)란 검푸른 빛..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2. 노마지지 뜻과 유래: 관중과 습붕의 지혜에 대한 겸손 노마지지는 한비자의 설림에 나오는 고사성어로 아무리 똑똑한척 해도 그 지혜가 늙은 말이나 개미만도 못한 때가 있는 법이라는 의미로 관중과 습붕도 노마나 개미를 스승으로 삼기를 꺼리지 않으나 어리석은 사람들은 성인의 지를 스승으로 삼지 않는다. 노마지지 老馬之智 뜻과 유래 출전 出典 『한비자 韓非子』설림 說林 노마지지 뜻 늙은 말의 지혜(智慧ㆍ知慧)」라는 뜻으로 연륜이 깊으면 나름의 장점과 특기가 있다는 의미 저 마다 한 가지 재주는 있다는 의미 老 늙을 로(노) 馬 말 마 之 갈 지 智 슬기 지 출처: 네이버 한자사전 노마지지 유래 관중(管仲)은 춘추시대의 오패(五覇)의 한명인 제환공(齊桓公)을 도운 명재상으로 그 관중의 병이 무거워졌을 때 자기의 후임을 추천하라는 요청을 환공으로부터 받고 소위「관포지교..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2. 낙양지가귀 洛陽紙價貴 고사성어 뜻과 유래 배우기 낙양은 주나라 후반 도읍으로 낙양지가귀란 낙양거리의 종이 값을 올리게 한다는 뜻으로 책이 많이 팔리는 것. 즉 베스트셀러가 되는 것을 의미하는 좌사(左思)의 삼도의 부가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낙양의 종이 값이 올라갔다는 것을 비유한 이야기다. 낙양지가귀 洛陽紙價貴 뜻과 유래 배우기 출전 出典 『진서 晋書』 문원전 文苑傳 낙양지가귀 뜻 낙양(洛陽)의 종이가 귀(貴)해졌다. 洛 물 이름 락(낙) 陽 볕 양 紙 종이 지 價 값 가 貴 귀할 귀 낙양지가귀 유래 낙양(洛陽)하면 그때까지 협곡을 흐르고 있던 황하(黃河)가 산간(山間)에서 평야지대로 옮겨지려고 하는 곳, 남쪽 기슭에 있는 도시의 이름으로 남쪽에서 황하로 흘러드는 낙수(洛水)의 양(陽)에 해당하는 북쪽에 있으므로 낙양(洛陽)이라 불리웠다. 주대(周代)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2. 남풍불경 南風不競 고사성어 뜻과 유래 배우기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고사성어 남풍불경은 남쪽 지방의 풍악(음악)은 힘도없고 생기가 없다는 뜻으로 힘이나 권력 또는 세력이 힘이 없음을 뜻한다. 남풍불경 南風不競 뜻과 유래 출전: 춘추좌씨전 춘추시대(春秋時代)도 말엽에 가까운 주영왕 (周靈王) 10년, 노양공(魯襄公)18년의 일이 었다. 정(鄭)의 자공(子孔)은 심한 야심에 불타고 있었다. 방해가 되는 여러 대부(大夫)를 제거하고 국권을 장악하려고 꾀했던 것이다. 당시 제후는 진(晉)을 맹주로 삼고 대두해온 제(齊)에 대한 토벌군을 일으켜 착착 그 포위진을 압축시키고 있었다. 그래서 그 틈을 타 자공(子孔)은 진(晉)에 반기를 들고 남쪽의 명문인 초(楚)의 군대를 사주(使嗾)하여 야망을 달성 시키고자했다. 사신을 초(楚)의 영윤(令尹)인 자경(子庚)에게 ..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0. 남상 濫觴 뜻과 유래 완전 정복 「남상(濫觴)」은 사물의 시초 근원을 뜻하는 고사성어로 순자 자도편에 소개되는 공자가 커다란 양자강도 술잔을 띄울만한 크기(觴(술잔), 濫(띄운다) 에 지나지 않았음을 비유적으로 알려주면서 자로의 화려한 옷차림을 꾸짓는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남상에 대한 뜻과 유래가 무엇인지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남상 濫觴 뜻과 유래 출전 出典』 순자 荀子 자도편 子道篇 문인(門人)인 자로(子路)가 대단하게 옷차림을 꾸미고 공자를 찾아 뵈었다. 공자는 그 모습을 훑어보고 〈약간〉사치하고나 하고 생각했다. 〈단정한 복장으로 스승을 뵙는 마음씨가 중요한데 자로의 경우는 이런 화려한 옷을 입을 수가 있읍니다 하고 뽐내는 듯 싶어 이건 그대로 두어서는 안되겠다〉고 생각하고 자로에게 말을 걸었다. 「자로야 그 화려한 옷은 웬일.. 중국고전배우기 2023. 7. 20.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