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고전배우기204 압권 壓卷 뜻과 한자 그리고 유래 압권(壓卷)이란 서책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 한 권 중에서 여기다 하고 감탄하는 시문(詩文)을 말한다. 이것이 전용(轉用)되어 수많이 있는 것 중에서 특히 눈에 띄는 뛰어난 것이 압권(壓卷)의 뜻이다. 압권 壓卷 뜻과 한자 그리고 유래 압권 壓卷 뜻과 한자 壓 누를 압 卷 책 권 위의 책이 아래에 놓인 책을 누른다는 뜻으로 수 많은 것 중 가장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압권 壓卷 유래 출전.출처: 미상未詳 옛날 과거(科擧) 성적을 채점해서 이름을 발표할 때 최우등으로 급제한 사람의 답안(卷)은 최후로 끄집어 내어 다른 답안 위에 올려 놓는 습관이 있었다. 즉 이 가장 우수한 답안(卷)이 다른 모든 답안(卷)을 누르는 압(壓)하는 모양이 된다. 이것이 압권(壓卷)이란 말이 생겨난 유래다. 우리가 매일 매일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5. 암중모색 暗中摸索 뜻, 유래, 출처 그리고 사용 예시 암중모색(暗中摸索)은 어둠 속에서 손으로 더듬어 물건을 찾는다는 뜻으로 찾는데 아주 고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암중모색은 어둠 속에서 더듬어 어림으로 찾아 낼 수가 있다는 반대 의미로 쓰이며 수당가화 속 이야기가 그 유래이다. 암중모색(暗中摸索) 뜻과 유래 그리고 출처 암중모색(暗中摸索) 뜻과 한자 해석 暗 어두울 암 中 가운데 중 摸 본뜰(찾다) 모 索 찾을 색 어둠 속에서 손을 더듬어 찾는다는 뜻 대충(어림짐작)으로 사물이나 무언가를 알아내는 것 지금은 당장 해결책은 없지만 막연한 상태에서 돌파구를 찾는 것 암중모색(暗中摸索) 유래와 출처 암중모색(暗中摸索)의 출처는 『수당가화 隋唐佳話』라는 책에 나와 있는 이야기다. 당(唐)나라의 허경종(許敬宗)이란 학자는 성질이 경홀(輕忽)하여 즉 경망해서 남의..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4. 악사주천리(惡事走千里) 호사불출문(好事不出門) 뜻과 유래 이 세상 많은 일은 호사불출문(好事不出門 좋은 일은 좀처럼 세상에 안 알려짐)하고 악사주천리(惡事走千里 나쁜 일은 천리를 달린다)한다. '호사불출문'하다고 너무 상심하지 말고 '악사주천리'하지 않도록 항상 조심하자. 악사주천리(惡事走千里) 뜻과 유래 악사주천리(惡事走千里) 뜻과 한자 해석 惡 악할 악 事 일 사 走 달릴 주 千 일천 천 里 마을 리(이) 나쁜 일은 천리를 달린다는 뜻으로 나쁜 일은 빠르게 넑리 알려진다는 의미다. 악사주천리(惡事走千里) 유래 출전.출처: 중국 속담 20세 전후의 아주 아름다운 식모였던 반금련(潘今蓮)은 돈 많은 집 주인이 유혹을 했으나 이에 응하지 않았기에 모두가 기피하는 추남인 무배랑이란 자에게 시집을 가게 되었다. 무배랑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그녀는 마침 시중을 들었..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3. 안서(雁書) 안신(雁信) 안찰(雁札) 안백(雁帛) 뜻과 유래 안서(雁書)는 먼 곳에서 기러기가 전해주는 반가운 편지란 뜻으로 안찰(雁札) 안신(雁信) 안백(雁帛)이라고도 한다. 이 단어는 한나라 시절 유명한 소무(蘇武)란 충신의 이야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안서(雁書) 안신(雁信) 뜻과 유래 안서(雁書) 안신(雁信) 뜻과 한자 雁 기러기 안 書 글 서 계절따라 이동하는 기러기가 먼 곳에 소식(消息)을 전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를 의미한다 안서(雁書) 안신(雁信) 유래 출처.출전: 『한서 漢書』 소무전 蘇武傳·『십팔사략 十八史略』 끝없는 하늘 아래 눈길이 닿는한 끝없이 계속되는 바다와 같은 호수와 그 호수 주위 대밀림(大密林) 어디에도 인기척이라고는 없었다. 그러나 지금 그 어떤 오두막에서 그 호숫가로 나온 사나이가 있었다. 손에는 활과 살, 머리에는 모피를 뒤집어..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3. 식지동 食指動 뜻과 한자 그리고 유래 둘째손가락을 표현하는 단어로는 검지, 집게, 식지(食指)가 있다. 이중 식지(食指)는 밥 먹을때만 필요해서 식지라고 불리는데 식지동 食指動은 무엇이 먹고 싶을 때마다 집게손가락이 저절로 움직인다는 의미로 식욕/성욕/욕심등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식지동 食指動 뜻과 유래 그리고 출처 식지동 食指動 뜻과 한자 食 밥 식 指 가리킬 지 動 움직일 동 식지는 둘째(집게, 검지) 손가각을 의미한다: 밥먹을 때만 필요해서 식지라고 함 그래서 식지동은 집게손가락이 움직인다는 뜻으로 식욕/성욕/욕심이 생기는 것을 뜻한다 식지동 食指動 유래와 출처 출처.출전: 『좌전 左傳』 관련 인물: 자가(子家, 이름은 歸生), 자공(子公), 정영공(鄭靈公) 주(周)의 정왕(定王) 2년(B.C 605) 즉 노선공(魯宣公) 4년이고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2. 술이부작 述而不作 뜻과 유래 그리고 출처, ft 공자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술이부작 述而不作은 단지 이미 있던 것을 (찾아) 서술해서 전달할 뿐 없던것을 창작하지는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겸손이 들어간 표현입니다. 술이부작 述而不作 뜻과 유래 그리고 출처 술이부작 述而不作 출처 출처.출저 『논어 論語』 술이편 述而篇 술이부작 述而不作 뜻과 한자 述 펼 술 而 말 이을 이 不 아닐 부 作 지을 작 성인(聖人)의 말을 단지 술(述)할뿐(전할뿐) 자기의 설(說)을 (새롭게) 지어내지 않는다는 뜻 술이부작 述而不作 유래 『성서(聖書)』의 「요한 복음서에는 -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 말씀은 하나님과 함께 있었다」라는 것이 있는데 씨족제 봉건 사회의 사람이었던 공자도 태초에 길이 있고 길은 하늘과 함께 있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공자는..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2. 순망치한(脣亡齒寒) 순치보거(脣齒輔車) 보거상의(輔車相依) 순망치한(脣亡齒寒) 순치보거(脣齒輔車) 보거상의(輔車相依) 3개의 고사성어는 모두 비슷한 뜻을 가지고 있다. 입과 입술 또는 수레바퀴와 나무처럼 서로 긴밀한 관계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를 뜻한다. 순망치한(脣亡齒寒) 순치보거(脣齒輔車) 보거상의(輔車相依) 뜻과 유래 순망치한(脣亡齒寒) 순치보거(脣齒輔車) 보거상의(輔車相依) 뜻과 한자 脣 입술 순 亡 망할 망 齒 이 치 寒 찰 한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이다 脣 입술 순 齒 이 치 輔 도울 보 車 수레 차 입술과 이는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따로 떨어져 협력하지 않으면 일이 달성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輔 도울 보 車 수레 차 相 서로 상 依 의지할 의 수레의 덧방나무(輔)와 바퀴(車)는 서로 의지한다는 뜻 순망치한(脣亡齒寒) 순치보거(脣齒輔車) ..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2. 수청무대어 수지청즉무어 뜻과 유래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살수 없다는 말을 알고 있을 것이다.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수지청즉무어(水至淸則無魚) 모두 바로 그 뜻을 의미하는 고사성어로 그 유래는 서역을 평정한 반초에게서 찾을 수 있으며 원칙주의자나 융통성이 없는 경우 사용된다. 수청무대어 水淸無大魚 뜻과 유래 수청무대어 출처와 관련 인물 출처: 『후한서 後漢書』 반초전 班超傳 관련 인물: 반초(班超) 수청무대어 水淸無大魚 뜻과 한자 水 물 수 淸 맑을 청 無 없을 무 大 클 대 魚 물고기 어 물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살수 없다는 뜻이다. 수청무대어 水淸無大魚 유래 후한초(後漢初)의 일이다. 반초(班超)의 아버지인 반표(班彪)는 사가(史家)로서 유명했고 그 형인 반고(班固)는「한서(漢書)」의 저술로 유명했으며 또 그의 누이동생인 반소(..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21. 수자부족여모 賢子不足與謀: 홍문연에서 범증의 유방 암살 실패 수자부족여모 賢子不足與謀의 '수자賢子'는 더먹머리 어린 아이란 뜻으로 수자부족여모는 항우의 책사인 범증(范增)이 홍문연(鴻門宴)에서 유방(劉邦)을 죽이는 것을 실패한 후 항우에게 한 말로 어린 놈과는 일을 도모 할수 없다는 뜻이다. 수자부족여모 賢子不足與謀 뜻과 유래 수자부족여모 賢子不足與謀 출처 출처.출전 『사기 史記』 항우본기 項羽本紀 수자부족여모 賢子不足與謀 뜻 더벅머리 수 賢, 아들 자 子, 아닐 부 不, 족할 족 足, 함께 여 與, 꾀할 모 謀 어린 놈과는 함께 일을 도모할 수 없다는 뜻이다. 수자부족여모 유래: 홍문연에서 범증의 유방 암살 실패 후 한 말 한(漢)의 원년(B·C 26) 진(秦)을 멸망시키고 수도 함양(咸陽)으로 제일 먼저 들어간 유방(劉邦)은 패상(覇上)으로 되돌아가 제후의 도..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9. 수욕다 壽辱多 또는 수즉다욕 壽則多辱 뜻과 유래: 장자 우화 수욕다 壽辱多 또는 수즉다욕 壽則多辱는 노인분들이 흔히 말하는 오래살면 욕보는 일이 많다는 뜻으로 그 유래는 요(堯)임금과 관련하여 장자의 우화에서 찾을 수 있다. 수욕다 壽辱多 또는 수즉다욕 壽則多辱 뜻과 유래 수욕다 壽辱多 출전 및 관련 인물 출전.출처: 『장자 莊子』 처지편 天地篇 관련인물: 요(堯)임금 수욕다 壽辱多 또는 수즉다욕 壽則多辱 뜻과 한자 목숨 수(壽) 욕보다 욕(辱) 많을 다(多) 목숨(생명)이 길면 욕 보는 일이 많다는 뜻이다. 수욕다 壽辱多 또는 수즉다욕 壽則多辱 유래 장자(莊子)는 선진(先秦 - 戰國時代)시대에 있어서 가장 특이한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장자는 공자를 조(祖)로 하는「유가(儒家)」의 사람들이 강조하는 인의도덕(仁義道德)을 잔꾀가 많은 인간의 작위(作爲)로써 배척.. 중국고전배우기 2023. 8. 19. 이전 1 ··· 4 5 6 7 8 9 10 ··· 21 다음 💲 흥미로운 이야기들 반응형